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뇌졸중 후 왜 손이 구부러지거나? 펴질까요?

by Nolja Sam 2025. 2. 19.
728x90
반응형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손상과 그로 인한 반응의 차이에 따라 뇌졸중 후 hemiplegia(반신불수)에서 Flaccid type과 Spastic type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1. Flaccid type (이완형)

Flaccid type은 뇌졸중 후 초기 몇 시간에서 몇 일 사이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학적으로는 하위 운동 뉴런(lower motor neurons)이나 그 경로에 손상이 발생한 결과로 나타납니다.

 

알기쉽게 설명하면 여기서 말하는 하위 운동 뉴런(lower motor neurons)이란 우리가 움직임을 하기 위해선 뇌에서 상위 운동 뉴런(Upper motor neurons) 을 통해 운동명령을 받아 근육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되어요~!

하지만 하위 운동 뉴런이 손상되면 제대로 명령을 받아도 손상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하게되고 근육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이완형 마비(Flaccid paralysis)가 발생됩니다.

 

신경학적 과정:

  • 뇌졸중 발생: 뇌졸중은 뇌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뇌세포가 손상되거나 죽게 되는 상태입니다. 이 손상은 뇌의 운동을 제어하는 부위(예: 운동피질, 뇌간, 척수 등)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하위 운동 뉴런 손상: 뇌졸중이 하위 운동 뉴런이나 그 경로인 척수 앞뿔세포(anterior horn cells)에 영향을 미칠 때, 근육으로 가는 신경 신호가 차단되거나 방해를 받습니다. 이로 인해 근육이 이완되고 반사 작용이 감소하게 됩니다.
  • 근육의 이완: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 자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근육이 정상적인 긴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이완됩니다. 이 상태는 초기 뇌졸중 후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근육의 약화근육 위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반사와 감각 저하: 근육 반사가 둔화되거나 사라지고, 감각 저하무감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팔이나 다리가 늘어지고 느슨해지며, 움직임에 제한을 받게 됩니다.

증상:

  • 팔이나 다리가 무겁고, 힘이 없으며 늘어지거나 축 처지게 됩니다.
  • 반사작용이 약해지고, 근육 긴장이 거의 없으며, 감각도 둔해집니다.
  • 초기에는 환자가 의도적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매우 어려운 상태입니다.

2. Spastic type (경직형)

Spastic type상위 운동 뉴런(upper motor neurons)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직과 과도한 근육 긴장 상태입니다. 뇌졸중 후 몇 주 내지 몇 달 동안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는 Flaccid type(이완형)에서 Spastic type(경직형)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 하면 상위 운동 뉴런(upper motor neurons)은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명령을 뇌에서 척수를 통해 하위 운동 뉴런(LMNs)으로 전달해요!!  하위 운동 뉴런이 실제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위 운동 뉴런은 그 신호를 전달하여 운동 계획, 조정,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되지만, 손상되면 경직(Spasticity)이나 비정상적인 반사가 나타날 수 있어요!!

 

신경학적 과정:

  • 뇌졸중 발생: 뇌졸중으로 인해 뇌의 운동영역인 운동피질(motor cortex) 또는 운동 명령을 전달하는 경로인 **피라미드로(피라미드로는 상위 운동 뉴런이 지나가는 경로)**가 손상됩니다.
  • 상위 운동 뉴런 손상: 상위 운동 뉴런이 손상되면 뇌에서 척수로 가는 신경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억제되지 않고 계속 자극을 보내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근육에 대한 억제 신호가 부족하고, 자극 신호가 과도하게 전달되어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게 됩니다.
  • 경직성 반응: 이 과잉 자극은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일으켜, 근육이 경직되어 움직이기 어려워지며, 뻣뻣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주로 신경학적 반사(예: 다리나 팔을 움직일 때 반사적으로 경직)가 촉발되며, 전형적인 '딱딱한' 느낌이 나타납니다.
  • 상향식 증가: 초기에는 하위 운동 뉴런 손상으로 인한 이완형(Flaccid type)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위 운동 뉴런 손상의 결과로 경직형(Spastic type)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근육의 긴장도가 점차 증가하며, 근육의 과도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 근육 경직과 반사의 증가: 근육이 경직되고, 딱딱한 근육움직이지 않는 관절을 경험하게 되며, 환자가 움직이기 힘든 상태가 됩니다.

증상:

  • 경직근육 강직이 나타나며, 특히 다리나 팔에 강한 긴장이 생깁니다.
  • 반사 과다: 깊은 건반사나 연속적인 반사 반응이 증가하며, 근육의 긴장이 과도하게 지속됩니다.
  • 움직일 때 팔꿈치, 무릎, 손목, 발목 등 주요 관절에서 경직된 느낌과 덩어리 같은 움직임이 발생합니다.
  • 자세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환자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Flaccid type과 Spastic type의 전환:

  • Flaccid type은 초기 손상에서 신경전달의 부족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상위 운동 뉴런의 손상에 의해 Spastic type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뇌졸중 후 급성기에서 회복기로 넘어갈 때 자주 발생합니다.
  • 초기에는 Flaccid type으로 근육의 긴장이 약화되고 반사작용이 둔화되지만, 회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위 운동 뉴런의 손상이 점차 경직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

  • Flaccid type은 주로 하위 운동 뉴런의 손상으로 인한 근육의 이완 상태이며, Spastic type상위 운동 뉴런의 손상으로 인한 과도한 근육 긴장과 경직을 특징으로 합니다.
  • 두 상태는 뇌졸중 후 회복 과정에서 다르게 나타나며, 초기에는 Flaccid type이 나타나다가 회복과정에서 Spastic type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에 재활을 통해 이런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를 조절하고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