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9 🚄 기차 여행, 두 아이와의 여정 속에 숨어있는 신경계 발달 이야기 10월 연휴 일상 공유하며, 아이들의 감각통합과 집중력 향상 팁까지! 적어보려합니다.안녕하세요, 놀자쌤입니다.😊10월 1일부터 연차를 써서 9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 긴 연휴를 활용해 저는 아이들을 데리고 친정이 있는 부산으로 먼저 내려갔어요. 신랑은 뒤따라 오기로 했고요.“어떻게 갔냐고요?”그렇죠. 기차죠. 육아맘들에게는 체력전, 집중전, 인내전이 동시에 펼쳐지는 전쟁터 같은 그 공간!하지만… 이 경험을 신경계 발달 관점에서 보니, 의외로 아이들에게 굉장히 값진 시간이었답니다😉🥚 1. 기차 여행의 낭만, 계란 까먹기부터 시작!기차에서 삶은 계란 까먹기는 어쩐지 “낭만”의 대명사 같죠?사실 아이들에게는 소근육 조절 능력을 자극하는 훌륭한 놀이이기도 해요.껍질을 까는 과정에서 손가락 끝의 감각 수용.. 2025. 10. 3. 추석에 더 빛나는 가족 전통놀이, 발달에 도움이 되는 제기차기·윷놀이·널뛰기·투호 🎯 가족과 함께하는 전통놀이: 작업치료와 신경계 발달의 근거기반 해석안녕하세요, 놀자쌤의 왜그럴까? 입니다.전통놀이는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운동·인지·사회·정서 발달을 고루 촉진하는 치료적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족과 함께 하면서 세대가 연결 뿐만 아니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즐거운 시간이라는 인식이 남게 되므로 가족의 중요함을 배우게 되느게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최근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일상 문화 기반 활동을 활용한 중재가 강조되고 있으며(Christiansen & Baum, 2005), 전통놀이는 재활 및 발달 촉진을 위한 훌륭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곧 명절이니 전통적인 놀이인 제기차기, 윷놀이, 널뛰기, 투호놀이를 활동분석과 신경과학적 .. 2025. 9. 30. 🏃♀️ 유치원 운동회 다녀오신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놀자쌤의 왜그럴까? 입니다. 주말이 지났으니 주말 일상으로 돌아왔어요 ㅎㅎ이번 주말은 정말 정신없이 바빴습니다. 바로 우리 둘째 딸의 유치원 운동회가 있었기 때문이에요.다들 운동회 하면 아이들 운동회때의 기억이 떠오르나요?? 혹은 곧 아이들 운동회를 앞두고 계신가요? 😊둘째딸이 다니는 유치원은 규모도 크고 참여하는 가족도 많아서, 그냥 앉아서 구경하는 정도가 아니라 엄마 아빠도 무조건 참여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많습니다. 체력과 에너지가 기본으로 요구되더라구요. 저희 가족은 이번에 청팀이었는데, 하이라이트는 바로 줄다리기! 긴장감이 맴도는 순간, 숨겨진 X맨일까요. X걸일까요 ??결국 우리 딸의 “활약” 덕분에 홍팀이 승리를 가져갔습니다. 덕분에 경기장은 웃음바다가 되었고, 저희 가족도 기.. 2025. 9. 29. 🧩 같은 아파트 친구들과의 저녁 모임, 왜 이렇게 웃겼을까? 안녕하세요, 놀자쌤의 왜그럴까? 입니다.어제는 첫째가 친구 집에 초대를 받았어요. 그런데 그 집이 같은 아파트, 같은 동이라 그냥 엘리베이터만 타고 쭉 내려가면 끝! 😂 같은 동에만 친구가 3명, 같은 아파트에 또 한 명, 이렇게 네 명이 모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작은 모임이 만들어져 버렸답니다. 아이들이 신나게 모이기전 초대해준 친구에게 “시켜 먹자~” 했는데, 간단하게 준비해놨다며 “그냥 먹자~” 하더라구요. 역시 친구 센스! 아이들 먼저 챙겨 먹이고 나니, 아이들이 크니까 더 챙길 게 많네요. 먹을 거 챙겨주랴, 흘리는 거 닦아주랴, 계속 바쁘게 움직이다 보니 결국 저희가 젓가락을 잡은 건 8시가 넘어서였답니다. 근데 어디 젓가락만 잡았을까요? 술잔도 잡았지요. ㅎㅎ 요즘 젊은 친구들이 하는 거 다.. 2025. 9. 26. 글씨를 못 쓰는 이유: 시지각·소근육·체간 안정성 문제 안녕하세요, 놀자 선생님의 왜 그럴까?입니다.아이들의 글쓰기 능력은 단순히 손가락을 움직이는 기술만이 아니라, 뇌와 신체가 함께 발달한 결과입니다. 글씨를 제대로 쓰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면 흔히 “노력 부족”이나 “집중력 문제”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시지각, 소근육 발달, 체간 안정성 등 신경학적 요인과 관련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시지각(Visual Perception) 문제시지각은 눈으로 본 정보를 뇌에서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글씨를 쓸 때는 글자의 모양, 크기, 위치를 정확히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시지각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신경학적 근거: 후두엽과 측두엽의 시각 영역, 그리고 두정엽의 공간 인식 영역이 협응 되어 .. 2025. 9. 25. 🧩 아동의 산만함: 집중력 부족이 뇌의 실행기능 미성숙 때문일까? 안녕하세요, 놀자쌤의 왜그럴까? 입니다.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를 키우면서 자주 고민하는 문제가 바로 산만함과 집중력 부족입니다. 숙제를 하다가 금세 딴짓을 하거나, 수업 중에도 자주 몸을 움직이며 집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왜 우리 아이는 이렇게 산만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곤 하지요.그 원인 중 중요한 부분은 바로 뇌의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발달 미성숙과 관련이 있습니다.1. 실행기능이란 무엇일까?실행기능은 우리 뇌의 ‘지휘자’ 역할을 합니다.주로 전두엽이 담당하며,주의집중(Attention)작업 기억(Working Memory)충동 억제(Inhibitory Control)계획 및 문제 해결(Planning & Problem Solving)과 같은 고차원적 기능을 포함합니.. 2025. 9. 24. 이전 1 2 3 4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