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4

“비 오는 날, 운동 멈추지 마세요!” 비가오면 유독 허리, 어깨, 무릎 더 아프죠? 그리고 기운도 없구요.. !! 그럴때 운동 추천드려요~! 🌧 비 오는 날, 재활운동 & 통증 완화 운동 – 실내에서 건강 지키는 법 1. 비 오는 날, 몸이 무거워지는 이유비 오는 날은 기압이 낮아지고 습도가 높아져 관절 주변 압력 변화, 혈액순환 저하, 근육·인대의 긴장이 쉽게 발생합니다.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뇌졸중, 척수손상, 말초신경 손상 등 신경계 질환 환자무릎·어깨·허리 등 근골격계 통증 환자관절염, 디스크, 수술 후 회복기 환자💡 날씨 때문에 활동량이 줄어들면, 근력 약화 →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R.. 2025. 8. 14.
구강 관련 행동, 자폐 스펙트럼일까? 오늘은 손가락 빠는 행동과 상동행동의 구분, 그리고 부모의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손가락 빠는 행동, 모두 자폐 신호일까?정답은 : 아니다 입니다.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모습은 영유아 시기에는 흔히 볼 수 있습니다.이는 자기 위안(Self-soothing)과 감각 자극 추구(Sensory-seeking)의 일환으로, 신경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행동입니다.하지만 일부 경우, 이 행동이 발달 연령을 넘어 지속되거나 특정 상황에서 반복·강하게 나타난다면 자폐 스펙트럼(ASD)의 상동행동(Stereotyped Behavior)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신경학적 관점에서 보는 구강 행동 뇌와 구강 행동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감각-운동 경로 활성:.. 2025. 8. 13.
우리 아이, 왜 손톱을 물어뜯을까? 👋 안녕하세요, 놀자쌤입니다! 아이들이 자주 하는 행동 중 하나가 바로 손톱 물어뜯기죠.많은 부모님들이 "그냥 버릇 아니야?"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감각·정서·신경 발달과 깊이 관련이 있는 행동이에요.오늘은 손톱 물어뜯기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신경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풀어드립니다. 1. 손톱 물어뜯기의 대표적인 원인① 감각 조절 미숙 (Sensory Modulation)손끝은 촉각 수용기가 아주 많이 모여 있는 부위입니다.촉각 반응이 둔감한 아이(저등록형)는 강한 자극을 원해 손톱을 물어뜯습니다.예민한 아이(과민형)는 거스러미나 손톱 모양의 불균형이 거슬려서 뜯게 됩니다.도움되는 방법손끝 마사지, 촉감 놀이(클레이, 모래놀이), 다양한 재질 물건 만져보기② 구강 감각 욕.. 2025. 8. 12.
우리 아이, TV 보고 나면 왜 이렇게 짜증이 늘까? 저는 평일에는 저희 아이들 ‘TV 디톡스를 하고 있어요.아이와의 약속이죠.왜냐면… TV를 보고 나면 꼭 짜증이 늘어나거든요!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주말이 되면 TV가 더더더 보고 싶어지는 우리 아이.마치 평일의 ‘금단현상'을 주말에 한 번에 해소하려는 듯, 몰아서 보려고 합니다.그리고 문제는… 그렇게 보여주면 또 짜증이 폭발!결국 시청 → 짜증 → 또 보고 싶음이라는 무한 보상-불쾌 루프에 빠지더라고요.자극적인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도 아닌데 왜 이런 걸까요?그래도 어쩌겠어요, 지금은 스스로 놀고 건강하게 노는 게 더 중요한 나이니까요.그래서! 오늘은 “아이들이 왜 TV를 보고 나면 유독 짜증이 많아질까?”를 신경계 재활 전문가의 관점에서 풀어봅니다. 1. 감각 자극 과부하 – Sensory Over.. 2025. 8. 11.
🤖 AI·로봇 재활, 어디까지 왔을까? 인간과 기계가 함께 만드는 재활의 미래📌 왜 이 주제가 중요할까요?최근 몇 년 사이 AI(인공지능)와 재활로봇 기술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 뇌졸중, 척수손상, 소아 뇌성마비 등에서 환자의 기능 회복을 지원하는 실질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죠.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한국과 세계 재활 분야에서 AI·로봇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그리고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근거 기반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1. AI 재활치료의 적용 영역진단 및 예후 예측AI는 뇌영상(MRI, fMRI)이나 운동데이터 분석을 통해회복 가능성, 예후, 기능 향상 정도를 예측할 수 있어요.예: 딥러닝 기반의 뇌졸중 후 운동 회복 예측 모델.치료 계획 자동화로봇이 환자의 운동 데이터를.. 2025. 8. 8.
"감각통합치료실, 아이에겐 키즈카페지만 신경계에겐 트레이닝룸!" 오늘은 7월 주말 병원 진료로 들른 우리 아이와의 아주 특별한(!) 에피소드를 소개해보려 해요.5살 우리 아이, 아빠가 진료 보는 동안 제 치료실에서 잠깐 기다리고 있었거든요.그런데 이게 웬일일까요…제가 수업 중인 4살 아이보다 제 아이가 평형대 걷기를 훨씬 더 못하더라고요. 😅처음엔 “오~ 이참에 재밌게 연습 시켜보자~” 싶었죠.하지만 역시나… “내 자식은 안 된다”는 말, 이럴 때 나오는 거였나 봅니다.말도 안 듣고, 중간에 딴 데로 가고, 결국 “엄마! 여기 키즈카페야?”라며 꺄르르 웃는데…감각통합치료실이 아이 눈엔 그냥 놀이터처럼 보이나 봐요. 🧠 그런데 왜 하필 ‘평형대 걷기’가 중요할까요?사실 평형대 걷기는 그냥 재미 삼아 해보는 게 아니에요.치료사 입장에서 보면 아주 고급 감각통합 훈련이.. 2025. 8.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