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상완신경총 손상이 회복되기 어려운 이유 5가지 [의학적 분석]

by Nolja Sam 2025. 7. 15.
728x90
반응형

 

상완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y, BPI)의 회복이 어려운 이유는 주로 해부학적 복잡성, 신경 재생의 생리적 한계, 손상 형태의 다양성, 근육·관절의 2차 변화 등 의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요인들에 기인합니다. 아래에서 각각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상완신경총의 해부학적 복잡성

상완신경총은 "경추 5번(C5)부터 흉추 1번(T1)"까지의 신경근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어깨, 팔, 손까지 모든 근육과 감각을 지배합니다.
이 신경다발은 Root → Trunk → Division → Cord → Branches라는 5단계 구조로 분기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말초신경(근육피부신경, 정중신경, 요골신경 등)이 형성됩니다.

→ 이처럼 복잡하게 얽힌 구조 때문에 손상 부위를 정확히 특정하기 어렵고, 여러 신경이 동시에 다치기 쉽습니다. 특히 일부 신경은 해부학적으로 서로 겹치며 작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상이 여러 기능을 동시에 무력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2. 신경 재생 속도 및 생리적 한계

말초신경은 손상 시 일정 부분 재생이 가능하지만, 그 속도는 하루에 약 1~3mm로 매우 느립니다.

→ 예를 들어, 상완신경총에서 손까지 거리가 40~60cm라면 완전한 재생에는 1년 이상이 걸릴 수 있으며, 이 동안 신경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표적 근육이"비가역적으로 위축(denervation atrophy)"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이 끊어진 후 자가적으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신경초(Schwann cell)가 정렬되어 있어야 하고, "신경말단(nerve stump)"이 정확히 표적 근육까지 자라나야 합니다. 그러나 외상 후 이 조건들이 충족되기 어렵습니다.

 

🧠 3. 신경의 손상 형태에 따라 예후 차이

신경 손상은 좌상(Neuropraxia), 축삭절단(Axonotmesis), 완전단열(Neurotmesis 또는 Avulsion) 등으로 분류됩니다.

  • "좌상(Neuropraxia)"는 일시적 압박에 의한 것으로 수 주 내 회복 가능하지만,
  • 축삭 절단이나 완전단열은 수술 없이는 회복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특히, "Avulsion(신경근이 척수에서 뽑힘)"의 경우, 중추신경계와 연결이 끊겨 자연 회복이 절대적으로 어렵습니다.

→ 즉, 신경 손상의 정도와 형태에 따라 회복 가능성 자체가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 4. 회복 지연 시 근육과 관절의 이차적 변화

신경 재생이 지연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손상된 부위의 근육은 비활성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며 다음과 같은 변화가 발생합니다:

  • 근위축(Muscle atrophy): 자극이 없는 근육은 점차 소실됨.
  • 관절 구축(Joint contracture): 움직이지 않은 관절이 굳어져 ROM 제한 발생.
  • 연부조직 유착(Soft tissue adhesion): 건·근막의 유연성 저하로 기능 회복 어려움.

→ 이러한 2차 변화를 방치하면, 나중에 신경이 회복되더라도 움직임이 실제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신경 재생을 기다리는 동안에도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 5. 감각 기능 회복의 어려움

운동신경보다 감각신경은 손상 후 재생이 더 불완전합니다.

  • 특히, 감각신경이 잘못된 경로로 재생되면 "비정상적 감각(통증, 이상감각, 감각 역전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감각은 기능적으로도 훈련이 어렵고, 회복되더라도 실질적인 기능 사용에 제한이 크며, 소뇌 및 감각통합 시스템의 재적응이 필요합니다.

 

📉 요약: 회복이 어려운 주요 의학적 이유

  1.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손상 부위 및 범위 파악과 수복이 어려움
  2. 신경재생 속도 느림 + 회복 조건 까다로움
  3. 손상 형태에 따라 회복 가능성 매우 다름 (특히 Avulsion은 자연 회복 거의 불가)
  4. 근육과 관절의 이차 변형으로 인해 회복이 늦어질수록 기능 회복 어려워짐
  5. 감각 기능의 재생 자체가 어렵고 통증 등 후유증 동반 가능성 높음

따라서, 혹 손상을 받았다면 완전 손상이 아닌경우 빠르게 재활치료를 병행하는게 매우 도움 됩니다~~!!

완전 손상이라도 구축과 관절가동범위를 유지 위해서는 재활은 필수라는 점 기억해주세요!

 

 

<참고 영상 올립니다>

 

https://youtube.com/shorts/UbTJgVkKVyU?si=nvuyAS1tuFu5CW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