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 놀이 등 질문 받아요!!!

눈으로 보는걸 잘 안한다면?

by Nolja Sam 2024. 12. 18.
728x90
반응형

시지각은요

외부환경으로부터 시각자극인 눈으로 본 것을  수용하고 지난 경험들과 조직화하여 의미 있게 해석하는 것을 말해요.

시지각 발달과정

1 안구운동조절, 시야, 시력
2 시각집중
3 패턴인식
4 시각기억
5 시각 인지
6 시각을 통한 적응




눈으로 보는 걸 잘 안 할 땐 시지각 발달 과정 중에 1번을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1. 안구운동조절, 시야, 시력
안구운동조절은 물건을 볼 때 눈 추적이 잘 이루어지는지,  이름을 부를 때 머리와 함께 눈도 함께 쳐다보는지, 사시가 없는지, 눈동자의 떨림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보아야 해요.

①. 안구운동조절은 안구의 운동이나 동공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뇌신경인 눈돌림신경이 안구 주변의 근육인 상식근, 하직근, 내측직근, 하사근으로 안구 운동을 조절하고 안구, 안검, 수정체의 모양, 동공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또한 이렇게 들어간 정보가 소뇌와 대뇌를 통해 적절한 안구운동조절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②. 시야
시야는 보통 우리가 앞을 보고 있더라고 넓은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시야 범위라고 해요.
이 시야범위는 앞을 보고 있을 때 약 180° , 위 60 °, 아래 70°정도가 됩니다.
한쪽을 잘 보지 않는다면 이 시야 범위를 확인해 보는 게 좋아요.
시야 범위가 좁으면 물건을 찾을 때 어렵고, 자주 부딪히고, 자세가 바뀔 수 있어요.

★교정: 잘 보지 않는 쪽으로 음식을 놓아주어 인식하게  만들고 잘 보지 않는 쪽으로 말을 걸어주어 조금씩 시야 범위를 넓혀갈 수 있어요!



③. 시력
무엇보다 시력이 있어야 눈으로 보는 게 가능해 눈으로 본 정보를 우리의 뇌에 전달할 수 있어요.

이렇게 첫 번째 확인이 끝나면 두 번째 시각집중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2. 시각집중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을 통해 물건의 인식을 시작하게 됩니다.
시지각 과정이 되려면 이 시각집중이 매우 중요해요.
그래서 눈으로 사물을 잘 보지 않는 친구들은 이게 무엇인지 알아가는 것이 느릴 수 있어요.
선 따라 그리기를 어려워하면 이 시각집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도 있어요.

★ 교정: 선 따라 그리기 및 종이컵 2개~4개 정도 준비하여 안에 젤리나 물건 넣어서 섞은 후 어디 있는지 찾는 활동, 같은 그림 카드 찾기 등의 활동으로 시집 중을 높일 수 있어요!

3. 패턴인식
패턴인식이 낮으면 눈으로 보고 그림 따라 그리기, 틀린 그림 찾기, 한글 쓰기, 숫자 찾기 등의 모든 활동에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시각집중을 통해 그림이나 물건을 보고 형태, 모양등을 분별하는 패턴인식이 시작됩니다.
즉 환경으로부터 물체를 구별하는 것을 말해요.
우리 아이가 틀린 그림 찾기, 모양 구별등을 어려워하면 이 패턴인식이 부족할 수 있어요.

★ 교정:틀린 그림 찾기나, 블록조립, 물건 보고 따라 그리기 등을 통해 좋아질 수 있어요!

4. 시각기억
자극을 시각적으로 처리하고 이것을 기억에 따라 저장하고 회상하는 능혜운 말해요.
따라서 그림을 보여준 후 안본상태에서 다시 그려보라고 할 때 그려낼 수 있는지로 확인해 볼 수 있어요.
이는 한글 익히기에 매우 중요하답니다.
우리 아이 한글  학습이 늦다면 이 시각기억에 대한 부분을 확인해 주면 좋아요!

★ 교정: 카드 뒤집어서 같은 그림 찾아내기, 동물이나 사물카드 5개 정도 보여준 뒤 안 보고 똑같이 나열하게 하기 등을 통해 좋아질 수 있어요!

5. 시각인지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시각정보를 조작하고 다른 감각정보와 통합하는 걸 말해요.
이를 통해 반쪽그림을 보고 사과인걸 아는 것, 겹쳐진 선안에 있는 도형을 찾는 것 등 시각 자극의 특성을 추론하는 미로 찾기 활동 등을 할 수 있어요!

★ 교정: 겹쳐진 그림 안에서 도형 찾기, 조립 설명서 보고 따라 만들기, 종이접기 등을 통해 좋아질 수 있습니다.

6. 시각을 통한 적응
위의 모든 것들의 통합으로 신호등 색이 바뀌는 걸 알고 건너가고 자동차가 갑자기 올 때 보고 멈출 수 있는 것 등의 일상생활에서 모든 활동에 시각을 통한 적응이 이루어집니다.

더 궁금하시면  글이나 답글 달아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