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대근육 협응(Gross motor coordination)
대근육은 큰 근육이 있는 신체부위를 말해요.
점프하기는 대근육 활동에 매우 효과적이에요.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하는 줄넘기, 뜀틀, 달리기 등을 어려워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요.
대근육이 늦으면 학령기일 때 아이가 주눅 들 수 있으니 키즈카페나 놀이터에서 열심히 몸으로 놀게 해 주면 좋아요
😍둘째. 균형(Balance)
두 발로 목표거리까지 점프한 후 넘어지지 않기 위해 균형능력이 필요해요.
😍셋째, 거리인식
동그라미 된 지점에서 다음 목표거리까지 점프할 때 우리 뇌에선 저 거리가 얼마나 되고 자세조절은 어떻게 해야 하고 어느 정도의 힘을 주어야 하는지 등 모든 면에서의 계산을 자동적으로 해요. 이를 통해 우리 뇌는 운동계획을 세우고 실행을 하면서 거리인식과 활동의 협응을 이루어 냅니다.
😍넷째,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
점프를 뛸 때 얼마큼 힘을 주어야 하는지 운동계획을 세워지면 우리 몸의 감각은 근육과 인대, 관절의 움직임 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뛰고 난 뒤에 감각적인 느낌(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해 더 멀리 뛰어야지~ 혹은 발바닥이 아프니 이제 안 뛰어야지 등의 생각에 고유수용성감각이 영향을 미치게 된답니다.
😍다섯째, 자세조절(Motor control)
우리 몸은 환경에 따라 꾸준히 자세조절을 합니다.
그래서 운동을 하고 몸을 움직이는 활동이 두뇌 발달에 좋다고 해요, 왜냐하면 이 자세조절을 위해 모든 뇌 영역 부위가 활성화되기 때문이에요.
😍근육 힘(Muscle power)
근육 힘은 지구력인 지속하는 힘 말고 순간적으로 내는 근육 힘이 있습니다.
점프하기는 이 순간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때 근육 힘이 사용되어집니다.
제 딸은 그때도 말했듯이 근육 힘이 약해요ㅋㅋ
마지막에 넘어지는 거 보이시죠?
그래도 꾸준히 시켜야 합니다!!!
그럼 오늘도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른 활동분석으로 또 뵐게요 ^^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18) | 2025.01.06 |
---|---|
수건 개기는! (18) | 2024.12.23 |
소근육 활동 (24) | 2024.12.17 |
계단은요? (18) | 2024.12.16 |
아이에게 거울보여주나요? (43)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