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돌해수욕장에서 아이와 할 수 있는 활동 추천해요
1. 몽돌 줍기 및 정렬하기
🔹 활동 설명
몽돌해변의 다양한 크기와 색깔의 돌을 줍고, 모양·색·크기별로 정렬해보는 활동.
🧠 활동 분석
감각 통합: 다양한 질감(차갑고 매끄럽거나 거친 돌)의 자극은 촉각 민감성 조절에 도움.
소근육 기능: 돌을 쥐고 분류하며 손가락 협응력과 조작능력(Manipulation Skills)을 강화.
인지 기능: 분류 기준 설정, 패턴 인식 등 고차원 인지 기능 자극.
시지각 발달: 돌의 색과 모양을 시각적으로 변별하고 비교하는 능력 증진.
📚 근거 이론 및 연구
Ayres Sensory Integration® (ASI) 이론: 다양한 감각자극(촉각, 시각 등)은 신경계 발달 및 주의 집중력 향상에 기여. (Ayres, 2005)
분류 및 시각적 변별 활동은 시지각 능력 발달과 관련 있음. (Case-Smith & O'Brien, 2015)
Fine motor manipulation은 아동의 쓰기 능력 및 자조기술 향상과 밀접하게 관련 (Feder & Majnemer, 2007)
🧾 관련 문헌
Case-Smith, J., & O'Brien, J. C. (2015).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yres, A. J. (2005).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2. 물수제비 뜨기
🔹 활동 설명
얇고 납작한 돌을 고르고, 바닷물 위에 던져 튀기는 놀이.
🧠 활동 분석
상지 협응 및 운동계획: 던지기 동작은 어깨-팔꿈치-손의 협응, 운동 계획(Motor Planning)과 실행을 요구.
공간 인식: 물 표면과 거리 계산을 통한 운동 시 공간지각 능력 향상.
문제해결능력: 돌 선택, 던지는 각도, 손목 스냅 등을 조절하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학습.
📚 근거 이론 및 연구
물체를 던지는 활동은 상지 협응력과 운동 계획 능력을 자극. 이는 발달성 협응장애(DCD) 치료에 활용됨.
체계적인 던지기 과제는 비연속적 피드백과 반복을 통해 운동학습 촉진. (Schmidt & Lee, 2011)
🧾 관련 문헌
Cermak, S. A., & Larkin, D. (2002).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Schmidt, R. A., & Lee, T. D. (2011). Motor Control and Learning.
3. 파도 따라 뛰어놀기
🔹 활동 설명
파도가 밀려오고 물러가는 타이밍에 맞춰 뛰어다니는 활동.
🧠 활동 분석
대근육 사용 및 균형감각: 달리기, 점프, 방향 전환 등 전신 움직임이 포함됨.
감각조절: 차가운 물과 불규칙한 파도에 적응하며 감각조절 능력 발달.
사회성: 또래 또는 보호자와 함께 활동하며 사회적 규칙 학습(기다리기, 양보하기 등).
📚 근거 이론 및 연구
자연 환경 속에서의 신체 활동은 전정계, 고유감각계, 촉각 자극을 통합적으로 자극 → 감각조절 기능 향상. (Bundy et al., 2002)
자율적 움직임이 포함된 놀이(예: 파도 피하기)는 인지적 유연성과 문제해결 능력 발달에 도움. (Baranek et al., 2002)
🧾 관련 문헌
Bundy, A.,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Baranek, G. T. (2002). Efficacy of sensory and mot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 몽돌 그림 그리기 / 쌓기
🔹 활동 설명
돌 위에 크레용이나 수성펜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돌을 높이 쌓는 놀이.
🧠 활동 분석
시각-운동 협응: 그림을 그리는 동안 시지각과 손의 협응 능력 증진.
창의성 및 표현력 향상: 자기표현을 통한 정서 조절 및 사회정서 발달.
문제해결 및 인내심: 돌을 쌓으며 무너짐 방지 위한 집중력 및 인내력 훈련.
📚 근거 이론 및 연구
창의적 활동은 아동의 정서 표현을 촉진하고 자기효능감 강화에 효과적. (Bazyk, 2011)
손 조작 활동은 미세운동 기능 향상뿐 아니라 주의 지속 시간 증가에도 긍정적.
**놀이 기반 치료(Play-based OT)**는 아동의 자발성, 동기 부여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 (Parham & Fazio, 2008)
🧾 관련 문헌
Bazyk, S. (2011).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with Children and Youth: A Guiding Framework for Occupational Therapy.
Parham, L. D., & Fazio, L. S. (2008). Play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 종합적 전문가 의견 (작업치료사 관점)
몽돌해수욕장은 시각, 청각, 촉각, 고유수용감각(몸의 위치와 움직임 감각) 등 다양한 감각 자극을 자연스럽게 제공하는 환경이에요. 그래서 전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유익한 자연 놀이터라고 생각합니다.
예로, 발목 조절이 부자연스러운 뇌성마비 아동이나 근 긴장이 높은 친구들은 몽돌이있는 해변을 천천히 걸으며 근 긴장도를 낮추며 발목 운동 조절에 대해 배울 수 있고, 감각이 예민한 친구도 천천히 움직이는 활동이나 양말 벗고 걷기를 통해 감각 예민을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자연 환경을 이용한 활동은 정서 안정과, 감각처리 능력, 주의 집중력, 사회성, 신체조절 등 매우 좋은 활동이라고 생각해요!!
올 여름은 몽돌 해수욕장으로 놀러가는거 어떨까요??
* 추천 참고자료 목록 요약
Ayres (2005) 감각통합 이론 기초
Case-Smith & O'Brien (2015) 아동 작업치료 전반
Cermak & Larkin (2002) 운동계획 및 협응장애 개입
Bundy et al. (2002) 감각 통합 실천 가이드
Parham & Fazio (2008) 놀이 기반 치료 접근
Bazyk (2011) 아동의 정신건강 및 표현 활동
Schmidt & Lee (2011) 운동 학습 이론 기반
Pfeiffer et al. (2011) 감각통합 치료의 효과성 검증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중 못하는 아이, 인지기능의 문제일까? (131) | 2025.06.10 |
---|---|
"움직이며 배우는 아이들: 인라인스케이트가 감각과 뇌를 깨운다" (181) | 2025.06.04 |
눈손협응과 균형감각을 동시에! 작업치료사가 추천하는 감각통합 활동 (136) | 2025.05.27 |
이 게임 어른들도 가능해요! (78) | 2025.05.26 |
자주 넘어지고 높은 곳 올라가기를 못한다면 ?? (167)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