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청각 주의력과 실행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청각 주의력(Auditory Attention)과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은 일상생활 및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요한 인지적 기반 기능이에요.
특히 아동, 청소년, 신경발달장애 혹은 뇌손상 환자의 재활 과정에서 일상생활을 위해 이 두 기능은 작업치료적 접근의 핵심부분으로 볼 수 있어요.
1. 청각 주의력(Auditory Attention)이란?
청각 주의력은 소리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인지 기능입니다.
지속주의(Sustained Attention): 장시간 특정 소리에 집중하는 능력
선택주의(Selective Attention): 방해 자극 속에서 목표 음성만을 선택하는 능력
분할주의(Divided Attention): 두 가지 이상의 청각 정보에 동시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전환주의(Alternating Attention): 서로 다른 청각 자극 사이를 유연하게 전환하는 능력
2.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란?
실행기능은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계획, 조직, 조절하는 고차원적 인지 능력입니다.
1)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정의: 정보를 잠시 머릿속에 저장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능력
예:
선생님이 "3+2는 얼마죠? 그리고 그 답에 4를 더해보세요"라고 했을 때,
→ 학생은 먼저 3+2=5를 기억하고, 그 다음에 5+4=9를 계산함.
➡️ 바로 전에 들은 정보를 잠시 기억하면서 사용하는 것.
2) 인지 유연성 (Cognitive Flexibility)
정의: 상황이 바뀌거나 새로운 규칙이 생겼을 때 유연하게 생각을 바꾸는 능력
예:
보드게임 규칙이 바뀌었을 때, 바로 적응해서 새로운 방법으로 게임을 하는 것
또는, 숙제를 하려다 갑자기 방문객이 와서 대화를 나눈 뒤 다시 숙제로 전환하는 경우.
➡️ 한 가지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
3) 자기 억제 (Inhibitory Control)
정의: 충동이나 습관적인 행동을 억제하고, 적절하게 행동하는 능력
예:
수업 시간에 친구가 웃긴 얘기를 해도 선생님 말 듣느라 웃음을 참는 것
또는 마트에서 갖고 싶은 장난감을 보고도 "지금은 안 돼" 하고 참는 아이
➡️ 즉각적인 반응을 참아내는 힘
4) 계획 및 조직화 (Planning & Organization)
정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순서를 생각하고 정리하는 능력
예:
과학 프로젝트를 할 때, 어떤 주제를 할지 정하고 → 자료 조사하고 → 실험하고 → 발표 준비하는 단계별 계획을 세움
➡️ 체계적으로 일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능력
5)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정의: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어려움이 생겼을 때, 해결 방법을 찾는 능력
예:
학교 가는 길에 다리가 끊겨 있다면, 돌아가는 다른 길을 찾거나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함
➡️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스스로 생각해내는 능력
실행기능의 결함은 주의력 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이는 학습 지연, 일상생활의 어려움, 사회적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할 수 있는 감각놀이가 궁금하다면 ~!! (79) | 2025.06.24 |
---|---|
“엄마가 몰랐던 큐브의 비밀: 아이 발달에 이렇게 좋아요” (155) | 2025.06.11 |
"움직이며 배우는 아이들: 인라인스케이트가 감각과 뇌를 깨운다" (181) | 2025.06.04 |
"유아 감각놀이, 바닷가에서 이렇게 해보세요!" (69) | 2025.05.29 |
눈손협응과 균형감각을 동시에! 작업치료사가 추천하는 감각통합 활동 (136)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