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집중 못하는 아이, 인지기능의 문제일까?

by Nolja Sam 2025. 6. 1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청각 주의력과 실행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해당 영상을 분석해보면, 대상 아동은 "청각적 주의집중력(auditory attention span)"이 저하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성(laterality) 개념의 인지와 신체도식(body schema) 형성이 미성숙한 양상을 보여요. 또한, "청각 자극을 운동 반응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반응 지연(response latency)"이 관찰되며, 이는 감각정보 처리와 운동 실행 간의 신경 처리 속도(neural processing speed)가 저하되어 있음을 말해준답니다. 이에 따라 활동 시에는 예측 가능한 언어적 단서(verbal cue)를 사전에 제공하여 감각-운동 통합(sensory-motor integration)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처리 시간을 확보하였고, 예를 들어, "오른쪽 팔꿈치로 줄 거야~"와 같은 단서를 제시한 후, "하나, 둘, 셋"과 같이 시간적 구조를 제공하는 카운트(cued timing)를 통해 청각 자극의 인식과 이에 따른 운동 실행 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요 본 활동은 청각적 주의력,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자기조절(self-regulation) 등 고차원 인지기능을 통합적으로 자극하는 중재 전략으로서 활용될 수 있어요!!! 따라서 반응 속도가 늦거나 운동 실행에 어려움이 보인다면 이러한 활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단 !! 모든 아동에게 일반화 할수는 없어요 ! -nolja sam-

 



청각 주의력(Auditory Attention)과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은 일상생활 및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요한 인지적 기반 기능이에요.

특히 아동, 청소년, 신경발달장애 혹은 뇌손상 환자의 재활 과정에서 일상생활을 위해 이 두 기능은 작업치료적 접근의 핵심부분으로 볼 수 있어요.


1. 청각 주의력(Auditory Attention)이란?

 

청각 주의력은 소리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인지 기능입니다. 
지속주의(Sustained Attention): 장시간 특정 소리에 집중하는 능력
선택주의(Selective Attention): 방해 자극 속에서 목표 음성만을 선택하는 능력
분할주의(Divided Attention): 두 가지 이상의 청각 정보에 동시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전환주의(Alternating Attention): 서로 다른 청각 자극 사이를 유연하게 전환하는 능력


2.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란?

실행기능은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계획, 조직, 조절하는 고차원적 인지 능력입니다.

 

1)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정의: 정보를 잠시 머릿속에 저장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능력
예:
선생님이 "3+2는 얼마죠? 그리고 그 답에 4를 더해보세요"라고 했을 때,
→ 학생은 먼저 3+2=5를 기억하고, 그 다음에 5+4=9를 계산함.
➡️ 바로 전에 들은 정보를 잠시 기억하면서 사용하는 것.

 

2) 인지 유연성 (Cognitive Flexibility)

정의: 상황이 바뀌거나 새로운 규칙이 생겼을 때 유연하게 생각을 바꾸는 능력
예:
보드게임 규칙이 바뀌었을 때, 바로 적응해서 새로운 방법으로 게임을 하는 것
또는, 숙제를 하려다 갑자기 방문객이 와서 대화를 나눈 뒤 다시 숙제로 전환하는 경우.
➡️ 한 가지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

 

3) 자기 억제 (Inhibitory Control)

정의: 충동이나 습관적인 행동을 억제하고, 적절하게 행동하는 능력
예:
수업 시간에 친구가 웃긴 얘기를 해도 선생님 말 듣느라 웃음을 참는 것
또는 마트에서 갖고 싶은 장난감을 보고도 "지금은 안 돼" 하고 참는 아이
➡️ 즉각적인 반응을 참아내는 힘

 

4) 계획 및 조직화 (Planning & Organization)

정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순서를 생각하고 정리하는 능력
예:
과학 프로젝트를 할 때, 어떤 주제를 할지 정하고 → 자료 조사하고 → 실험하고 → 발표 준비하는 단계별 계획을 세움
➡️ 체계적으로 일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능력

 

5)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정의: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어려움이 생겼을 때, 해결 방법을 찾는 능력
예:
학교 가는 길에 다리가 끊겨 있다면, 돌아가는 다른 길을 찾거나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함
➡️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스스로 생각해내는 능력



실행기능의 결함은 주의력 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이는 학습 지연, 일상생활의 어려움, 사회적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