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노인을 위한 연하 운동 가이드

by Nolja Sam 2025. 5. 30.
728x90
반응형

🧓 노인을 위한 연하 운동 가이드

연하 운동은 삼킴에 관여하는 근육의 힘과 조정력을 개선하기 위한 훈련입니다. 훈련은 언어치료사(혹은 연하재활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운동들입니다.

📌 1. 혀 운동 (Lingual Exercises)

  • 혀 밀기 (Tongue Press)
    혀로 입천장을 강하게 누름 (3초 유지, 10회 반복)
    설근부 근력 강화 → 인두 압력 증가
  • 혀 앞으로 내밀기
    혀를 최대한 앞으로 뻗고 3초 유지, 10회 반복
    ⟶ 혀 운동성 향상, 구강기 보조

📌 2. 구강-인두 연결 강화 운동

  • Masako Maneuver (마사코 운동)
    혀를 입술 사이에 두고 삼키기
    인두 수축근 강화, 인두 벽-설근 간 협력 증진
  • Effortful Swallow (노력 삼키기)
    힘을 줘서 삼킴
    ⟶ 인두 수축력 증가, 식도 상부 괄약근 개방 향상
  • Shaker Exercise (목 들어 올리기 운동)
    평지에 누워 고개만 들어 올려 발끝을 바라보기 (30초 유지 3회 + 10회 반복 운동)
    후두 상승력 강화, 식도 입구 열림 도움
  • Mendelsohn Maneuver
    삼킬 때 후두가 올라가는 순간 멈추고 유지 (2~3초)
    ⟶ 후두 고정력 및 식도 괄약근 열림 지속 시간 증가

📌 3. 호흡 조절 운동

  • 기침 유도 훈련
    깊게 숨 들이마시고 강하게 기침하기
    흡인 시 이물 배출 능력 증가

 

🍲 단계별 식이 조절 (IDDSI 기준 기반)

"국제 연하장애 식이표준(IDDSI)"는 0~7단계로 삼키기 용이성과 질감을 기준으로 식이를 분류합니다.

IDDSI 단계식이 유형대상자 특성식이 예시
0 완전 액체 삼킴 전혀 어려움, 경관영양 고려 물, 주스, 미음
1 약간 점도 있는 액체 반사 지연 있지만 삼킴 가능 묽은 농축액
2 살짝 걸쭉한 액체 흡인 위험은 낮으나 조절 필요 죽물, 우유
3 걸쭉한 액체/부드러운 퓨레 연하반사 지연 있으나 삼킴 가능 농도 있는 죽, 미숫가루
4 퓨레 씹지 않아도 삼킬 수 있어야 고운 죽, 퓨레된 야채, 으깬 고기
5 잘게 다진 음식 약간 씹을 수 있는 사람 다진 두부, 계란찜, 다진 생선
6 부드러운 고형 전반적 연하 가능, 고형 제한 부드러운 밥, 연한 고기, 삶은 채소
7 일반 식이 특별한 제한 없음 정상적인 식사
 

주의: 음식의 점도와 고형도는 실제 섭취 전 삼킴 평가 후 결정해야 합니다 (VFSS, FEES 권장).

 

📋 실천 예시: 연하곤란 노인을 위한 하루 식단 (IDDSI 4단계 기준)

식사메뉴특징
아침 고운 호박죽 + 으깬 두부 질감 부드럽고 식도 통과 쉬움
점심 감자퓨레 + 푹 삶은 당근 퓨레 + 잘게 다진 생선찜 식이섬유 적고 삼킴에 적합
간식 퓨레 바나나 + 농도 조절 우유 흡인 방지 위해 약간 걸쭉하게
저녁 전복죽 + 으깬 브로콜리 영양 보충과 삼킴 용이성 모두 고려
 

✅ 근거 기반 자료 요약

출처주요 내용
ASHA (미국 언어청각학회) 연하곤란 재활 시 개별 맞춤형 운동과 식이 조절 권장
IDDSI (국제 연하식이 기준) 질감 조절 및 위험도에 따른 식이 단계 설정
Shaker et al. (1997), Logemann (1998) Shaker 운동, 노력 삼키기 등의 효과 연구
일본 연하재활학회 고령자의 식이 및 운동 개입 시 감각 자극과 근력 균형 강조
 

 

🩺 결론 및 추천

  • 노인 연하곤란은 식이 조절 + 기능 강화 훈련의 병행이 핵심입니다.
  • 식이는 단순히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연하 기능에 맞게 단계별로 조절되어야 합니다.
  • 훈련은 전문가(언어치료사, 재활의학과)의 지도하에 시행하고, "정기적인 평가(VFSS/FEES)"로 조정해야 합니다.

 

*  노인의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임상경험으로 몇가지 운동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다음 운동을 통해 삼킴 기능을 강화할 수 있어요!!

  • 입술 및 입둘레 근육 강화: ‘풍선 풀기’(볼에 바람을 넣고 10초 유지한 후, 양 볼로 바람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운동)는 구륜근(입둘레 근육)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혀의 후방 이동(retraction) 훈련: 입을 오므리고 혀끝을 앞니에 가볍게 대거나 살짝 깨문 상태에서 침을 삼키는 동작(5회 반복)은 혀의 움직임을 강화하여 삼킴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비인두 폐쇄 훈련: 음식이나 물이 코로 넘어가거나 숨 쉴 때 코로 공기가 새는 경우, 물로 가글한 뒤 뱉는 연습을 통해 비인두 폐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삼킴 협응력 향상: 삼킬 때 턱을 숙이고 숨을 참고, 속으로 '하나, 둘, 셋'을 세며 삼키는 연습은 호흡과 삼킴의 협응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운동은 연하 기능을 보조적으로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사레가 자주 걸리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평가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