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수족구에 대해 포스팅을 했죠
그러다 보니 땀띠가 수족구랑 비슷하겠더라고요 여름철 저희 아이들 피부 발진 대비할 겸 저도 궁금해서 준비해 보았습니다. 물론 어른이나 노인도 포함입니다.
땀띠 (출처:네이버 이미지) | 수족구 (출처:네이버 이미지) |
![]() |
![]() |
✅ 땀띠란? (한여름 필수 정보)
"땀띠(한열성 발진)"는 땀이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땀샘에 차면서 생기는 피부 발진입니다. 주로 여름철,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을 때, 특히 영유아, 어린이, 노약자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 땀띠의 발생 원인
🔥 과도한 땀 | 기온이 높거나 활동량이 많아 땀을 많이 흘릴 때 |
👕 통풍이 잘 안 되는 옷 | 합성섬유, 땀이 잘 차는 두꺼운 옷 |
🛏️ 과열된 환경 | 너무 따뜻한 방, 이불을 덮고 자는 환경 |
🧼 청결 부족 | 피부가 땀, 피지, 먼지로 막힐 때 발생 |
🛡 땀띠 예방 방법 (검증된 효과적인 방법)
- 시원한 환경 유지
- 실내 온도를 24~26도로 유지
- 선풍기, 에어컨, 제습기 활용
- 면 소재 옷 착용
- 통기성이 좋은 면 100% 옷 착용
- 자주 갈아입히기 (특히 땀을 많이 흘린 후)
- 자주 씻기
- 미지근한 물로 하루 1~2회 샤워
- 유아는 물수건으로 닦아주는 것도 효과적
- 피부 보송보송하게 유지
- 땀 흘린 후 즉시 닦아주기
- 필요시 베이비파우더를 소량 사용 (과용 주의)
- 보습 유지
- 피부 장벽 강화용 저자극 보습제 사용
🩹 땀띠가 생겼을 때 대처 방법
🚿 미지근한 물로 씻기 | 땀과 노폐물 제거 |
❄️ 시원한 환경 제공 | 염증 완화 및 진정 |
💧 보습제 사용 | 자극 없는 저자극 크림 도포 |
🚫 긁지 않기 | 이차 감염 예방 |
🩺 증상 심할 경우 병원 방문 | 물집, 고름, 열 동반 시 피부과 진료 필요 |
❓ 땀띠 vs 수족구병 차이점
원인 | 땀 배출 장애로 인한 피부 자극 | 콕사키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
발진 형태 | 작은 붉은 뾰루지, 구진 | 수포(물집) + 발열 동반 |
위치 | 목, 등, 겨드랑이, 이마 등 접히는 부위 | 손, 발, 입안, 엉덩이 등 |
전염성 | ❌ 없음 | ✅ 있음 (전염력 강함) |
동반 증상 | 가려움, 따가움 | 고열, 식욕부진, 통증 |
치료 방법 | 환경 조절 및 피부 진정 | 대증 요법, 해열제, 수분 보충 등 |
땀띠는 더운 여름철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영유아나 노인처럼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 더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예방과 조기 대처가 가장 중요하며, 수족구병과는 명확히 다른 질환이므로 증상을 구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 땀띠일때 약국에서 구매하여 사용해도 되는 리스트!!
제품명 | 스테로이드 포함여부 | 유아사용 | 비교 |
비판텐 | ❌ 없음 | ✅ | 기저귀발진, 땀띠 모두 OK |
아즈렌 크림 | ❌ 없음 | ✅ | 진정 효과 우수 |
베아제크림 | ❌ 없음 | ✅ | 보습 겸용 |
더마틱스 | ❌ 없음 | ✅(의사 상담 권장) | 땀띠 후 흉터 방지 |
후시딘, 마데카솔 | ⚠️ 상황 따라 다름 | ⚠️ | 감염 의심 시만 사용 |
하이드로코르티손 | ⭕ 약한 스테로이드 | ⚠️ | 1% 이하, 의사 처방 후 사용 권장 |
따라서, 여름철 아이 피부에 붉은 발진이 생기면, 많은 부모들이 '땀띠일까, 수족구병일까' 헷갈리곤 합니다. 두 질환 모두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증상이 확연히 다릅니다.
땀띠는 더운 날씨에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서 생기는 피부 자극으로, 주로 목, 겨드랑이, 이마, 등처럼 땀이 차는 부위에 작고 붉은 뾰루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전염성은 없고, 시원한 환경 유지와 보습, 유아용 연고(비판텐, 아즈렌 크림 등)를 사용하면 쉽게 호전된다고 합니다.
반면, 수족구병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생기고 열이나 통증, 식욕부진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땀띠와 달리 대증 치료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고, 증상이 심하면 병원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가려움만 있고 아이 컨디션이 괜찮다면 땀띠, 열이나 입안 통증, 물집이 있다면 수족구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헷갈릴 땐 소아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저도 증상과 발진 형태를 구별 잘해서 저희 아이들 여름철 잘 살펴보아야겠어요!
'재활이 궁금해요 > 전문적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재활 치료, 생존을 넘어 삶의 질 회복으로 (108) | 2025.07.10 |
---|---|
여름철 유행 바이러스 총정리! 증상부터 대처법까지 한눈에 (154) | 2025.07.04 |
시작 되었어요.. (127) | 2025.06.26 |
“라운드 숄더와 어깨 통증의 연관성, 재활운동으로 개선하는 법” (105) | 2025.06.23 |
노인의 열사병 및 탈수: 증상, 예방, 응급 대처 가이드 (118)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