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감각통합치료실, 아이에겐 키즈카페지만 신경계에겐 트레이닝룸!"

by Nolja Sam 2025. 8. 7.
728x90
반응형

 


오늘은 7월 주말 병원 진료로 들른 우리 아이와의 아주 특별한(!) 에피소드를 소개해보려 해요.
5살 우리 아이, 아빠가 진료 보는 동안 제 치료실에서 잠깐 기다리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이게 웬일일까요…
제가 수업 중인 4살 아이보다 제 아이가 평형대 걷기를 훨씬 더 못하더라고요. 😅
처음엔 “오~ 이참에 재밌게 연습 시켜보자~” 싶었죠.
하지만 역시나… “내 자식은 안 된다”는 말, 이럴 때 나오는 거였나 봅니다.
말도 안 듣고, 중간에 딴 데로 가고, 결국 “엄마! 여기 키즈카페야?”라며 꺄르르 웃는데…
감각통합치료실이 아이 눈엔 그냥 놀이터처럼 보이나 봐요.

 

🧠 그런데 왜 하필 ‘평형대 걷기’가 중요할까요?

사실 평형대 걷기는 그냥 재미 삼아 해보는 게 아니에요.
치료사 입장에서 보면 아주 고급 감각통합 훈련이랍니다.

✅ 전정감각 자극

좁은 평형대를 걷는 건 전정계(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각 시스템)를 자극해
몸의 균형과 자세 조절 능력을 발달시켜요.

✅ 고유수용성 감각 발달

발과 다리의 위치 감각, 근육의 조절 능력도 요구되기 때문에
운동 계획(motor planning) 능력까지 자극됩니다.

✅ 시각-운동 협응력 강화

앞을 보며 걷고, 몸을 조절하고, 중심을 잡는 모든 동작이
시각 정보와 운동 시스템의 통합을 요구하죠.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아이는 신경계 전반의 통합적 처리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 그래서 우리 아이는 왜 어려웠을까?

평소 겁이 많거나, 전정 자극에 예민한 아이들은 평형대 위에서 중심을 잡는 게 쉽지 않아요.
특히 자기 의지로 움직이려는 시기인 5세 아이들은 “하지 말랬더니 꼭 거기서 뛰고~”, “지금 걷자 했더니 누워버리고~”
치료실이 아니라 기싸움의 현장이 되기도 하죠 😂  

 

🧩 작업치료사의 팁: 내 아이 감각통합, 일상에서 어떻게 도와줄까?

  • 평형대가 없다면?
  • 👉 줄이나 테이프를 바닥에 붙여서 ‘집 평형대’ 만들기!
  • 일상에서 전정 자극 주기
  • 👉 그네, 방방, 통나무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 아이가 어려워하면?
  • 👉 처음엔 손을 잡아주고, 작은 성공부터 경험하게 해주세요!

 

💬 마무리하며…

감각통합치료실에서 아빠를 기다리며 우리 아이는 누구보다 신났지만, 전 속으로 식은땀이 났답니다…😅 
그렇지만 이런 경험이 있었기에 아이의 감각처리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어떻게 도와줄지 고민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어요.
혹시 여러분도 “우리 아이 왜 이렇게 중심 못 잡지?” 하신다면, 그건 감각통합 능력의 일환일 수 있어요.
걱정보다 관찰을, 강요보다 놀이를 통해 접근해보세요!
 
 
위 내용에 대해 신경학적으로 풀어 설명해 보자면, 평형대 걷기 활동에서 전정계는 몸의 위치, 방향,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자세 조절, 눈-머리 협응, 근긴장도 조절을 만들어내요 평형대에서 몸을 흔들림 없이 유지하려면 이런 일련의 과정인 중추신경계와 운동계에 신호를 전달해야하기에 전정처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어요. 또한 우리 몸은 고유수용성감각을 기반으로 운동반응이 이루어지는데 이 감각은 관절,근육,인대의 위치감각 등이 잘 작동해야해요. 따라서 이러한 감각을 기반으로 운동계획 및 실행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 볼 수 있어. 또한 시각 운동을 통해 몸의 조절이 이루어 지니 시각도 감각의 한 부분이죠? 좁은 길을 가기 위한 공간 지각과 거리 능력 등을 계산하여 운동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