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장기 기억력에 대해(long term Memory)

by Nolja Sam 2025. 2. 5.
728x90
반응형

출처 : Storage ❘ Introduction to Psychology

 

Multiple Memory Systems Hypothesis(다중 기억 시스템 가설)은 기억의 처리 및 저장 방식이 하나의 단일한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독립적인 시스템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기억을 담당한다는 이론입니다. 이 가설은 뇌의 여러 영역과 기억이 서로 다르게 처리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합니다.

주요 개념

다중 기억 시스템 가설은 주로 절차 기억, 서술 기억, 기억의 작업 시스템 등 여러 기억의 시스템들이 서로 다른 뇌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각각의 시스템은 고유의 처리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기억을 처리하는 데 특화된 역할을 합니다.

1. 서술적 기억 (Declarative Memory or Explicit memory)

서술적 기억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회상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입니다. 여기에는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과 **의미 기억(semantic memory)**이 포함됩니다.

  • 에피소드 기억(Episodic)은 특정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 개인이 겪은 사건이나 장소, 시간과 관련된 기억을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생일 파티나 지난 주의 여행과 같은 기억입니다.
  • 의미 기억(Semantic)은 사실과 지식, 개념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입니다. 예를 들어, "파리는 프랑스의 수도"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가 포함됩니다.

서술적 기억은 **해마(hippocampus)**와 같은 뇌의 특정 부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우리가 기억을 인식하고 회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억력은 서술적 기억에서는 에피소드, 의미 기억으로 나누어 지고 표지판을 보고 아는 것은 의미기억이며 아이가 미끄럼틀을 타다가 넘어져서 다음부터 타지 않으려고 한다면, 부모님의 생일을 아는 것은 에피소드기억으로 나누어 지게 됩니다. 

2. Implicit Memory (암묵적 기억)

  • 암묵적 기억은 의식적인 회상 없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는 기억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경험이나 학습을 의식적으로 기억하려고 하지 않아도 그 경험이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하는 기억입니다.
  • 절차적 기억암묵적 기억의 한 예입니다. 즉,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습득한 행동이나 기술은 암묵적 기억 시스템에 저장됩니다.
  • 암묵적 기억에는 절차적 기억 외에도, **조건 반응(classical conditioning)**이나 습관 등이 포함됩니다.

2-1. 절차적 기억 (Procedural Memory) 

절차적 기억은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인 기억으로, 특정 행동이나 기술을 배우고 기억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 타기, 피아노 연주, 수영 같은 운동 기술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기억 시스템은 **기저핵(basal ganglia)**와 소뇌(cerebellum)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절차적 기억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되며, 의식적인 노력이 덜 필요합니다.

2-2.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작업 기억은 우리가 정보를 잠시 동안 보유하고 조작하는 능력을 담당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잠깐 동안 기억하거나, 계산을 할 때 필요한 중간 결과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이 시스템은 **전두엽(prefrontal cortex)**과 관련이 있으며, 정보를 처리하고, 계획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3. 기타 기억 시스템

  • 감정적 기억(Emotional Memory): 감정이 동반된 기억은 특히 **편도체(amygdala)**와 연관이 있습니다. 감정이 강하게 얽힌 기억은 더 강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비서술적 기억(Non-declarative Memory): 절차적 기억을 포함한 비서술적 기억은 의식적으로 회상할 수 없는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조건화된 반응(classical conditioning)이나 습관(habits)도 이에 포함됩니다.

다중 기억 시스템의 뇌 영역

이 가설에 따르면, 각 기억 시스템은 서로 다른 뇌 영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특정 영역은 특정 종류의 기억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 해마(hippocampus): 서술적 기억과 관련된 사건이나 사실을 저장하고 회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기저핵(basal ganglia): 절차적 기억, 특히 운동 기술을 학습하는 데 중요합니다.
  • 전두엽(prefrontal cortex): 작업 기억을 담당하며, 계획, 의사결정, 문제 해결 등을 처리합니다.
  • 편도체(amygdala): 감정적 기억과 관련이 있으며, 감정적인 경험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론적 배경

이 가설은 여러 연구들을 통해 발전했습니다. LashleyHebb의 연구를 통해 처음 이론적으로 뇌의 여러 부위가 기억에 관련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Squire의 연구에서는 해마와 기저핵 등의 특정 뇌 부위가 기억의 특정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었습니다.

다중 기억 시스템 가설의 중요성

이 이론은 기억의 복잡성과 뇌의 구조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또한, 기억 장애나 뇌 손상이 있을 때, 특정 기억 유형이 손상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줍니다. 예를 들어, 해마가 손상되면 서술적 기억이 손상될 수 있지만, 절차적 기억은 상대적으로 보존될 수 있습니다.

결론

다중 기억 시스템 가설은 인간의 기억이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이 아니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시스템들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입니다. 각 시스템은 특정한 기억의 형태와 처리를 담당하며, 뇌의 다양한 부위들이 서로 다른 기억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억 연구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기억은 여러가지로 나누어지고 단순히 "기억력이 안좋다"보다 친구의 생일, 가족 생일을 자주 잊어 버린다면 의미 기억이 약한 것이며, 나를 힘들게 한 사람을 평생 잊지 못하는 것은 감정적 기억이 각인 되었기 때문이며, 위험을 경험 한 후 조심한다면 에피소드 기억이 사용되는 것이며 전화번호를 잠깐 기억하는 것은 작업기억을 사용하는 겁니다(보통 30로 이내) 이처럼 기억의 종류를 안다면 내가 어떤 기억부분에서 부족한지 돌아보며 훈련을 통해 좋아 질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