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척추손상(Spinal Cord Injury) 예방과 치료: 삶의 질을 지키는 방법

by Nolja Sam 2025. 3. 21.
728x90
반응형
중추신경계에 질환에 속하는 척추손상(Spinal Cord Injury, SCI)은 척추를 구성하는 뼈, 연골, 신경, 그리고 척수에 발생한 손상으로, 척수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져 운동 기능, 감각 기능, 자율신경 기능 등 다양한 신체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척수는 뇌와 신체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 부분의 손상은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척추손상의 주요 원인

  1. 교통사고: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동차 사고나 오토바이 사고에서 발생합니다.
  2. 낙상: 고령자에게 특히 흔하며, 건물에서 떨어지거나 계단에서 넘어지는 경우입니다.
  3. 스포츠 사고: 미식축구, 배구, 농구 등에서의 충돌이나 낙상에 의한 사고가 포함됩니다.
  4. 폭력: 총기나 칼에 의한 외상, 폭행 등도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5. 질병: 종양, 감염, 척추협착증 등이 척수에 영향을 미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척추손상의 증상

척수 손상의 증상은 손상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동 능력 저하: 다리나 팔, 손 등의 운동 능력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감각 기능 손상: 온도, 압력, 통증 등을 느끼는 감각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배뇨 및 배변 장애: 자율신경계의 손상으로 배뇨와 배변을 조절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호흡 문제: 척수의 상위 부분이 손상되면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척추손상의 분류

척수 손상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완전 손상(Complete Injury): 척수의 손상이 심해, 손상 부위 아래의 신경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 상태입니다.
  2. 불완전 손상(Incomplete Injury): 척수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상태로, 일부 신경 기능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회복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여기에는 ASIA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로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SCI)의 정도를 평가하며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정확하게 알게됩니다. 

ASIA Impairment Scale (AIS) 등급

  1. A - 완전 손상 (Complete Injury)
    • 척수손상 부위 아래에서 운동과 감각 기능이 모두 완전히 상실된 상태입니다.
    • 즉, 척수 손상 부위 아래로는 어떠한 감각과 운동 기능도 남아 있지 않음.
  2. B - 불완전 손상 (Sensory Incomplete Injury)
    • 감각 기능은 있지만 운동 기능은 상실된 상태입니다.
    • 손상 부위 아래에서 감각은 일부 보존되어 있지만 운동 기능은 전혀 회복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3. C - 불완전 손상 (Motor Incomplete Injury)
    • 운동 기능은 일부 남아있지만, 약한 근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 손상 부위 아래에서 일부 근육에 대한 운동 기능이 있지만, 근력이 3/5 이하로 충분히 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4. D - 불완전 손상 (Motor Incomplete Injury)
    • 운동 기능이 남아 있으며, 근력은 3/5 이상입니다.
    • 손상 부위 아래에서 운동 기능이 상당히 회복되었지만, 여전히 일부 기능은 제한적인 상태입니다.
  5. E - 정상 (Normal)
    • 운동 및 감각 기능이 완전히 정상인 상태입니다.
    • 척수손상 후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진 경우로, 신경학적으로 완전히 정상 상태입니다.

 

ASIA 수준을 통해 척수 손상의 정확한 정도를 파악하고, 재활 치료나 기능 회복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척추손상의 치료

척추손상의 치료는 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응급 처치: 사고 후 즉시 척수를 안정시켜야 하며, 사고 현장에서의 적절한 응급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 수술: 척추나 척수를 보호하고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재활 치료: 운동 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물리치료, 작업치료, 심리적 지원 등이 필요합니다.

재활치료시 알아 두어야 할 부분 

안타깝지만 아직까지 척수 손상은 회복이 어렵습니다. 잔여 기능으로 일상생활 훈련을 통해 혹은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기능을 유지 할 수 밖에 없어요

 

신경학적인 이유는슈반세포(Schwann cell)는 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말초신경계(PNS)에서 신경섬유를 둘러싸며 수초를 형성시키며 손상을 복구하고 수초는 신경 신호의 전도를 빠르게 합니다. 하지만 중추신경계에는 이 세포가 없어 회복이 어려워요. 증츠신경계에 올리고덴드리로사이트가 손상된 축삭을 복구하지만 기능이 제한적이며 중추신경계는 신경조직을 복구하려는 염증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실제 회복이 더욱 어려워져요

 

 

 

하지만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를 해본 결과 불완전 척수손상인 경우 강한 근력운동으로 손상레벨 2-3레벨 아래까지 기능을 올릴 수 있더라구요.

그러나 완전 손상의 경우에는 회복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어서 개별적인 치료 계획과 꾸준한 재활 훈련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