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 치료는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최신 연구 결과와 기술을 반영한 다양한 재활 방법과 치료법들이 나오고 있어요
1. 약물 치료 (Pharmacotherapy)
약물 치료는 ADHD 치료에서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자극제(Stimulus Medications):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와 암페타민(Amphetamines) 계열의 약물이 대표적입니다.
이들 약물은 뇌의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조절하여 주의력 향상과 충동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2) 비자극제(Non-stimulant Medications):
아토목세틴(Atomoxetine)과 같은 비자극제 약물은 자극제 약물이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큰 경우 사용됩니다.
이는 주의력 및 충동 조절을 개선하지만 자극제에 비해 효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최근엔 아이들 행동을 조절하기위해 이런 약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데 절대 안됩니다.
진단 받지 않고 산만한 아이들은 자기 조절 능력 연습으로 집중력 및 주의력을 키울 수 있어요
2. 행동 치료 (Behavioral Therapy)
ADHD 아동 및 성인의 행동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주요 치료 방법입니다.
1)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인지 행동 치료는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개선하고, 주의 집중력 및 시간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법입니다.
ADHD에 특화된 CBT는 목표 설정, 계획 수립, 문제 해결 등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2) 행동 수정법(Behavioral Modification):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처벌을 통해 행동을 조절합니다.
보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장려하고, 비효율적인 행동은 줄여 나가는 방식입니다.
3)뉴로피드백 (Neurofeedback)
뉴로피드백은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에 따라 뇌의 활동을 조절하는 훈련 방법입니다.
뇌파 훈련:
뇌파를 모니터링하여 집중력을 높이거나 과잉 행동을 줄이는 훈련을 합니다.
ADHD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의 활동 패턴을 정상화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3. 라이프스타일 변화
ADHD 증상 완화를 위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ex)책상을 벽쪽으로 붙여 산만함 줄이기, 핸드폰 사용 자제하기, 운동을 통한 신체 조절 능력 늘리기 등.
4. 식이요법: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첨가물 및 설탕이 적은 균형 잡힌 식사를 권장합니다.
일부 연구는 특정 식이 요법이 ADHD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 Harris, W. S., & Johnson, R. L. (2008):
- 이 연구에서는 오메가-3 지방산이 뇌의 기능을 개선하고 ADHD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습니다.
- 논문 제목: "Omega-3 fatty acids in ADHD and related disorders."
- Bloch, M. H., & Qawasmi, A. (2011):
- 이 연구는 오메가-3 지방산이 ADHD 아동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메타 분석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 논문 제목: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Galitzky, M., et al. (2020):
- 이 연구에서는 오메가-3가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재검토하며, ADHD 증상에 대한 가능한 영향도 언급했습니다.
- 논문 제목: "The Role of Omega-3 Fatty Acid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Function.
하지만 오메가 3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중이며 일반화 할 수는 없다는 점 설명드려요,
5.운동: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집중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운동은 뇌의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켜 ADHD 증상 완화에 기여합니다.
6. 부모 및 가족 교육
ADHD 아동을 가진 부모나 가족의 역할도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 치료 및 교육을 통해 가정 내에서의 관리 방법을 학습하고, 아동에게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부모 훈련 프로그램(Parent Training Programs):
부모는 ADHD 아동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부모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아동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배우고, 가정 내 규칙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7. 최신 디지털 치료법 (Digital Therapeutics)
디지털 치료법은 최근 ADHD 치료에 혁신적인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디지털 치료기기(Example: EndeavorRx):
FDA 승인을 받은 디지털 치료 프로그램인 EndeavorRx는 게임 기반의 훈련을 통해 ADHD 증상을 개선합니다.
게임을 통해 아동이 집중력을 높이고, 뇌의 인지 기능을 훈련하는 방식으로 ADHD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현재 몇몇 디지털 치료법이 ADHD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ADHD(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치료는 약물 치료, 행동 치료, 부모 교육,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통합 치료법 (Integrated Treatment Approach)이 효과적입니다.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학교 및 사회적응을 돕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많은 치료를 받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
질문 : ADHD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무엇이 다른 가요?
ADHD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 주요 증상은 주의 집중의 어려움, 과다한 활동성, 충동적인 행동이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주요 증상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제한된 관심사 및 반복적인 행동입니다.
즉, ADHD는 주로 집중력 부족과 충동성이 핵심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이 크게 나타나지 않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이 주된 증상이며, 반복적인 행동과 강한 관심사가 특징입니다.
'재활이 궁금해요 > 전문적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추 손상에서의 신경 경로 변화: 신경학적 탐험" (146) | 2025.03.25 |
---|---|
척추손상(Spinal Cord Injury) 예방과 치료: 삶의 질을 지키는 방법 (125) | 2025.03.21 |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 (126) | 2025.03.17 |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왜 더 많은 이해가 필요한가? (159) | 2025.03.13 |
발달장애 기준이 뭘까요? (116)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