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안해 본 사람이 없다는 놀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의 치료적 가치

by Nolja Sam 2025. 4. 28.
728x90
반응형

 

 

 

1. 활동

  • 활동명: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참여 연령: 주로 4세 이상 아동 (연령과 발달 수준에 맞게 변형 가능)
  • 준비물: 없음 (넓은 공간 필요)
  • 참여 인원: 최소 3인 이상
  • 진행 방법: 술래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고 외치는 동안 나머지 아이들이 접근하다가, 말이 끝나면 움직임을 멈추어야 하는 규칙 기반 놀이.

 

2. 작업치료적 분석

2.1. 감각-운동 발달 영역

  • 대근육 협응력: 달리기, 멈추기, 자세 유지 등에서 신체 전반의 협응력 발달에 도움.
  • 균형 감각 및 체간 안정성: 갑작스러운 정지 동작에서 균형 유지 능력을 요구.
  • 운동 계획력 (Motor Planning): 술래가 외치는 리듬과 시간에 맞추어 자신의 움직임을 조절해야 함.

2.2. 인지 기능 영역

  • 주의집중력: 소리에 집중하여 신속하게 반응해야 하므로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
  • 반응 억제력 (Impulse Control): 움직이지 말아야 하는 순간에 스스로를 제어해야 하므로 실행 기능 발달에 도움.
  • 청각적 처리능력: 술래의 말소리를 정확히 듣고 판단해야 하므로 청각적 분별력 발달.

2.3. 사회성 및 정서 발달

  • 규칙 이해 및 준수: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이를 따르는 과정에서 사회적 규범 습득.
  • 차례 지키기 및 역할 교대: 술래 역할을 바꾸어가며 협력적 놀이 경험 가능.
  • 자기 조절력 및 좌절 감내: 술래에게 걸렸을 때의 감정을 조절하는 훈련 가능.

2.4. 놀이 기술 및 상호작용

  • 사회적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 사회적 기술 및 협력 능력 향상.
  • 의사소통 기술: 술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언어적 신호에 대한 해석 등.

 

3. 치료 목표 설정 예시

영역목표 예시
감각-운동 아이가 균형을 유지한 채 5초간 정지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인지 기능 아이가 놀이 중 신호에 반응하여 3초 이내에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사회성 아이가 또래와 함께 순서를 지키며 놀이에 참여할 수 있다.
자기조절 아이가 걸렸을 때 화를 내지 않고 다시 순서를 기다릴 수 있다.

 

4. 활동 변형 아이디어 (작업치료 맞춤 적용)

  • 난이도 조절: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문장 길이를 조절하여 반응 시간을 다양화 가능.
  • 개별화: 인지 수준이 낮은 아이는 사전 리허설 후 참여하거나, 더 단순한 언어로 변형 가능.
  • 보조도구 사용: 시각적 신호(플래시 카드 등)를 함께 활용하여 멀티모달 반응 유도.

 
 

이런친구들이 하면 좋아요~!!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한 경우
기다림이나 참을성이 부족한 경우
내 신체운동의 움직임이 부족한 경우
협응력이 떨어지는 경우
규칙의 이해와 사회성이 부족한 경우
반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 
게임할때 무조건 이겨야만 하는 친구

 

1.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

  • 신호에 맞춰 움직임을 조절해야 하므로, 충동 억제력자기 통제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 “움직이면 안 돼!” 하는 순간, 몸을 멈추는 훈련이 반복되면서 감정 및 행동 조절 능력을 기릅니다.

2. 기다림이나 참을성이 부족한 아이

  •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술래의 신호를 듣는 과정에서 기다리는 습관인내심을 배울 수 있습니다.

3. 신체 움직임이 서툴거나 운동 협응력이 부족한 아이

  • 뛰어가다 멈추고,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을 통해 대근육 조절신체 협응력 향상에 도움됩니다.
  • 비대칭 자세나 균형 유지가 어려운 아이들에게 체간 안정성 훈련으로도 활용 가능해요.

4. 규칙을 이해하거나 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

  • 간단한 규칙 속에서도 반복적으로 규칙을 듣고 실천함으로써 인지적 규칙 이해사회적 규범 수용력이 향상됩니다.

5. 사회성이 부족하거나 또래와 어울리는 데 어려움이 있는 아이

  • 또래와 함께 놀이하면서 상호작용, 순서 지키기, 역할 바꾸기 등을 자연스럽게 연습할 수 있습니다.

6. 반응 속도나 반사 능력이 부족한 아이

  • 술래의 소리에 즉각 반응하고 몸을 정지해야 하므로 청각적 반응 속도신경반사 훈련에 효과적입니다.

7. 게임할 때 무조건 이겨야 직성이 풀리는 아이

  • 술래에게 걸리거나 질 수도 있는 게임 구조를 통해 승패를 받아들이는 경험, 좌절 감내력, 공정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