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퇴행성 근골격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인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고령화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성 질환이에요.
특히 무릎, 고관절, 손 관절 등 일상적인 움직임과 밀접한 부위에 자주 발생하며, 통증과 기능 제한으로 인해 활동참여도(Activity participation)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작업치료학적 관점에서, 골관절염 환자에게 자주 활용되는 두 가지 대표적 운동치료 방법인
수중 재활 운동과 지상 운동을 비교하고, 각각이 가지는 임상적 의미와 적용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수중 운동의 작업치료적 장점
수중 운동은 물의 특성(부력, 점성, 수압)을 활용하여
지상에서 어려운 움직임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부력 효과
-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통증을 최소화하며,
-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심리적 안정감도 제공합니다.
✅ 저항성 있는 운동환경
- 물의 점성을 이용해 근지구력 및 심폐지구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 안전한 환경에서 균형감각 훈련도 가능합니다.
2. 지상 운동의 작업치료적 장점
반면 지상 운동은 실제 생활과 유사한 조건에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기능적 움직임 재현
- 지상 환경에서의 운동은 실제 가정, 직장, 사회환경과의 연결성이 높아,
작업 활동에의 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매우 유리합니다.
✅ 근력 및 협응 능력 향상
- 체중 부하가 이루어지므로, 하체 근력 강화에 효과적이며,
- 보행 및 자세 교정 훈련에도 유리
3.두 접근의 통합적 적용이 이상적
항목수중 운동지상 운동
하중 부담 | 낮음 | 높음 |
초기 적용 | 적합 | 제한적 |
실생활 적용성 | 중간 | 높음 |
심리적 안정감 | 높음 | 개인차 있음 |
운동 강도 조절 | 상대적으로 용이 | 고강도 적용 가능 |
환경 적응성 | 제한적 | 우수 |
✅ 임상 팁: 수중 운동을 통해 통증을 조절하고 초기 관절 가동 범위와 지구력을 회복한 후,
지상 운동으로 이행하여 실제 작업 환경에 맞는 기능을 강화하는 단계적 접근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작업치료학에서는 운동치료를 통해 ‘움직임의 회복’이 곧 ‘삶의 회복’으로 이어진다고 봅니다.
골관절염 환자에게 있어 수중 운동과 지상 운동은 각각의 강점이 존재하며, 최종 목표는 단순한 통증 완화가 아니라,
환자가 다시 원하는 삶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운동은 수단이고, 회복된 삶이 결과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재활이 궁금해요 > 전문적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아이가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돌거나 자꾸 방방 뛴다면? (104) | 2025.05.14 |
---|---|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운동치료, 수중 운동 vs 지상 운동 2 (125) | 2025.05.13 |
“무지외반증, 운동으로 해결한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재활 방법” (187) | 2025.04.25 |
"손목저림의 해답! 재활전문가가 알려주는 회복루틴이 궁금하다면!" (161) | 2025.04.22 |
"관절연골은 회복될 수 있을까? 의학이 말하는 진실" (155)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