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고스톱 치실래요?” 놀이를 활용한 인지훈련의 비밀

by Nolja Sam 2025. 5. 20.
728x90
반응형

고스톱과 인지재활 아시나요?

 


고스톱(Gostop)은 단순 게임이 아니에요. 전통적인 한국의 카드게임으로, 여가 활동을 넘어 인지 기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이랍니다. 특히 고령자 인지재활 및 신경인지장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의 도구로써, 고스톱은 흥미와 동기 유발, 복합적 인지처리 능력을 자극하는  중재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해요.

출처 : 네이버 이미지



1. 고스톱의 인지적 요구 요소


1-1. 주의 집중(Sustained and Selective Attention)

고스톱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카드의 종류와 점수, 상대의 전략, 자신의 패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지속적 주의(sustained attention) 및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훈련에 효과적입니다.

1-2.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인지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
플레이어는 게임의 규칙을 기억하고, 점수를 계산하며, 전략을 유동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인지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3.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고스톱은 단순히 규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계획 수립, 의사결정, 충동 억제, 상황 판단 등의 고차원적인 인지기능이 동반됩니다. 이는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향상에 유의미한 자극을 제공합니다.

 




2. 고스톱의 임상적 활용


2-1. 고령자를 위한 인지 중재 활동

경도인지장애(MCI) 또는 초기 치매 환자에게 고스톱은 친숙하고 접근하기 쉬운 활동입니다. 인지적 과제 수행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인지 재활 효과와 동시에 사회적 참여(social participation)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2. 감각-인지 통합 훈련

고스톱은 시지각적 처리(visual perception) 및 운동 계획(motor planning), 눈-손 협응(eye-hand coordination) 등 감각-운동 통합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실제 게임 도구를 사용하는 활동은 디지털 기반 인지훈련과는 다른 감각 자극을 제공합니다.


3. 고스톱 활용 시 고려사항


난이도 조절: 대상자의 인지 수준에 맞게 규칙을 간소화하거나 도우미를 배치하여 게임을 조절해야 합니다.

윤리적/문화적 고려: 도박과 연관될 수 있는 게임 특성상 치료적 목적이 명확히 설정되어야 하며, 비도박성 고스톱 도구 사용이 권장됩니다.

집단 치료에서의 장점: 집단 내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스톱은 전통문화와 인지훈련이 융합된 효과적인 인지훈련 방법이에요. 작업치료사는 고스톱을 통해 대상자의 주의, 기억, 실행기능, 시지각 능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훈련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나 신경인지장애 환자에게 있어 흥미와 기능 향상이 함께 이루어지는 중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요.

 

하지만 일반 어르신에게도 매우 유익하고 좋은 활동이니 어머니, 아버지와 함께 오늘은 고스톱을 쳐보는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