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우리 아이 대근육 발달이 느려요! 병원 갈까 말까? 작업치료사가 말하는 기준”

by Nolja Sam 2025. 7. 1.
728x90
반응형

 

nolsa sam

🎥 영상 속 제 웃음소리가 조금 방정맞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아이가 너무 귀엽고 열심히 해줘서 절로 나온 반응이랍니다. 이해해 주세요 😊

 



본업으로 돌아왔습니다.

1. 우리 아이가 몸에 힘이 너무 많이 들어가요!
2. 자주 넘어져요!
3. 양쪽 협응이 부족해요!
4. 다른 친구들보다 발달이 느려요!
 
병원 가야 할까요?

네!!!  가는 걸 추천드립니다.
빠른 중재가 아이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특히나 병변을 가지지 않았다면  대근육 발달은 아이의 경우 예후가 좋답니다.



1)  전문가의 시선으로 본 활동 분석


1. 전정반응 및 평형반응(Equilibrium Response) 약화
아이가 자세를 유지하거나 균형을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합니다. 이는 자주 넘어지거나 자세가 불안정한 원인이 됩니다.

2. 교대운동(Reciprocal Movement) 미성숙
걷기, 뛰기, 기기 등의 반복적이고 교차적인 움직임에 어려움을 보입니다. 이는 근육 간 협응이나 신체 좌우 통합 기능 저하로 이어집니다.


3. 신체 도식(Body Schema) 및 정중선 인식(Midline Awareness) 부족
자신의 신체 위치나 중심을 잘 인식하지 못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좌우 대칭이 무너진 자세를 자주 보입니다.


4.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약화
두 손이나 두 발을 함께 사용하는 활동(예: 계단 오르기, 리듬 놀이 등)에 어려움을 보이며, 일상적인 기능적 활동에서도 비효율적인 움직임 패턴이 나타납니다.


5. 원시반사(Primitive Reflex) 비통합 – ATNR, STNR 잔존
대칭성 및 비대칭성 긴장성 경반사(ATNR, STNR)가 통합되지 않아 신체 정렬에 방해가 되며, 안정적인 움직임을 방해합니다.


6. 신체 조절력(Motor Planning & Postural Control) 미성숙
움직임 계획 및 실행 능력이 부족해, 과도한 힘을 주거나 너무 느리게 움직이는 등의 조절 장애가 나타납니다.



2. 치료적 개입 및 중재 효과

✔ 평형대 걷기 활동은 교대 운동 강화와 전정 및 평형 반응을 자극할 수 있어요
따라서 좌우 교차 움직임 촉진을 통해 대근육 협응과 균형 능력 향상을 할 수 있답니다!!

✔ 평형대 위에서 두 발 모아 서기는 정중선 인식 및 체간 안정성 향상을 할 수 있어요
이를 통해 몸 중심의 인식 및 유지 능력 증진으로 자세 조절력 향상할 수 있답니다!!

✔ 양발 교차 걷기, 천천히 걷기는 양측 협응 및 근 긴장도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천천히 걷거나 박자에 맞춘 리듬감 있는 움직임을 통해 협응력과 근육 조절 능력 향상할 수 있어요!

 
일상에서의 적용 팁!
이러한 활동은 특수한 치료 환경이 아니어도 놀이터나 집 주변의 구조물을 활용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놀이터의 낮은 평균대, 선 그어놓은 길, 방석 위 서기 등도 유사한 자극을 줄 수 있어요.

일반 아동에게도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신체 조절력, 집중력,  좌우 협응을 향상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마무리하며 아이의 발달은 빠르게 개입할수록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어요
단순한 ‘느림’이나 ‘버릇’으로 넘기지 말고, 움직임의 질에 주목해 주시면 더욱 빠르게 캐치할 수 있을 겁니다.
또한 빠른 개입으로 전문가와 함께 활동 분석을 통해 정확히 파악하고, 아이에게 맞는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작업치료사는 움직임 뒤에 숨은 기능적 문제를 분석하고, 상황에 맞춘 개입을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언제든 궁금한 점이 있다면 부담 갖지 말고 문의해 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