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원시반사와 발달 지연, 왜 그럴까?

by Nolja Sam 2025. 9. 23.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원시반사에 대해 올리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원시반사인 Moro 반사, ATNR, STNR, TLR이 통합되지 않았을 때 어떤 행동 특징이 나타나며, 그 배경에 어떤 신경계 과정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원시반사의 의미와 신경학적 배경

원시반사는 주로 "뇌간(brainstem)"에서 기원합니다. 뇌간은 생존과 직결되는 기초적인 움직임과 반사를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정상 발달에서는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 성숙하면서 뇌간의 자동적 반응을 억제하고, 더 정교하고 의도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즉, "원시반사의 통합(integration)"이란 뇌간 중심 반응이 점차 대뇌피질과 소뇌의 조절 하에 억제되며, 아동이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신경회로가 재구성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원시반사와 발달 지연 특징

1. Moro Reflex (모로 반사)

  • 정상 소실 시기: 생후 4~6개월
  • 남아 있을 경우 특징
    • 작은 소리나 움직임에도 과도하게 놀람 반응
    • 불안, 정서적 불안정, 수면 문제
    • 집중력 유지 어려움 (전두엽의 억제 기능 미성숙과 관련)
  • 신경학적 배경: 뇌간-자율신경계 과도 활성 → 교감신경 항진 상태 유지

2. ATNR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비대칭성 긴장성 목 반사)

  • 정상 소실 시기: 생후 6개월 전후
  • 남아 있을 경우 특징
    • 글씨 쓰기 어려움, 손-눈 협응 문제
    • 양손 협응 미숙 → 스포츠나 퍼즐 같은 양측 활동에 어려움
    • 읽기·쓰기 시 집중력 저하
  • 신경학적 배경: 목 회전에 따른 팔·다리 굴곡·신전 반응이 억제되지 못해 대뇌-소뇌 협응 발달 지연

3. STNR (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대칭성 긴장성 목 반사)

  • 정상 출현 시기: 6–9개월, 통합 시기: 9–11개월
  • 남아 있을 경우 특징
    • 네발 기기(crawling) 발달 지연 → 앉기·서기 전환 어려움
    • 책상에 오래 앉아 있기 힘듦, 글씨 쓸 때 고개와 몸이 따라 움직임
    • 자세 불안정, 체간 조절 부족
  • 신경학적 배경: 경부 움직임과 상·하지 반응 연결이 억제되지 않아 자세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음 → 전정계와 체간근 조절 지연

4. TLR (Tonic Labyrinthine Reflex, 긴장성 미로 반사)

  • 정상 소실 시기: 생후 3.5세 이전
  • 남아 있을 경우 특징
    • 균형 유지 어려움, 넘어지기 쉬움
    • 운동 협응 발달 지연 (예: 공 던지기, 달리기)
    • 근긴장 불균형(저긴장 혹은 과긴장)
  • 신경학적 배경: 전정기관(vestibular system) 미성숙으로 인한 공간 지각·평형 반응 부족

 

✅ 원시반사와 발달 지연의 연결고리

이러한 원시반사가 통합되지 않으면, 아동은 뇌간 중심 자동 반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대뇌피질 기반의 고차원적 움직임과 인지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합니다. 이는 곧

  • 운동 발달 지연 (앉기, 걷기, 달리기 등)
  • 학습 문제 (읽기·쓰기, 집중력 저하)
  • 정서·행동 문제 (불안, 충동 조절 어려움)
    와 같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재활 접근

 아동의 원시반사 잔존 여부를 평가한 후,

  • 감각통합 훈련 (전정·고유수용성 자극 제공)
  • 자세 안정성 훈련 (코어 근육 강화, crawling, 균형 운동)
  • 양측 협응 훈련 (양손·양발을 동시에 사용하는 활동)
    을 통해 반사 억제를 돕고, 뇌의 신경가소성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원시반사는 아동 초기 발달에 꼭 필요하지만, 제때 통합되지 않으면 다양한 발달 지연과 행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Moro, ATNR, STNR, TLR은 아동 발달에서 중요한 전환점 역할을 하는 반사들로, 재활 전문가의 조기 평가와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아동이 산만하거나, 또래에 비해 운동·학습 발달이 늦는다면 단순한 습관 문제가 아니라 신경계 발달 지연일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참고영상 올려봅니다~^^

 

10가지 신생아 시절에만 볼 수 있는 반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