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놀자쌤의 왜그럴까? 입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를 키우면서 자주 고민하는 문제가 바로 산만함과 집중력 부족입니다. 숙제를 하다가 금세 딴짓을 하거나, 수업 중에도 자주 몸을 움직이며 집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왜 우리 아이는 이렇게 산만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곤 하지요.
그 원인 중 중요한 부분은 바로 뇌의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발달 미성숙과 관련이 있습니다.
1. 실행기능이란 무엇일까?
실행기능은 우리 뇌의 ‘지휘자’ 역할을 합니다.
주로 전두엽이 담당하며,
- 주의집중(Attention)
- 작업 기억(Working Memory)
- 충동 억제(Inhibitory Control)
- 계획 및 문제 해결(Planning & Problem Solving)
과 같은 고차원적 기능을 포함합니다.
아이가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고, 규칙을 지키며,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려면 이 실행기능이 충분히 발달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동기에는 아직 전두엽 신경망이 완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집중 시간이 짧고 외부 자극에 쉽게 주의가 분산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기도 합니다.
2. 집중력 부족과 신경계 과정
아동의 집중력 문제를 단순히 성격으로 볼 수 없는 이유는, 신경계 발달 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 감각 처리(Sensory Processing)
- 뇌는 시각, 청각, 촉각, 전정감각 등 다양한 자극을 끊임없이 받습니다.
- 감각 조절 능력이 약하면 작은 소리에도 산만해지고 집중이 어려워집니다.
- 주의 네트워크(Attention Network)
- 전두엽과 두정엽, 뇌량이 협력하여 ‘선택적 주의’와 ‘지속적 주의’를 담당합니다.
- 발달이 미숙하면 과제를 끝까지 마치기 힘듭니다.
- 작업 기억과 실행기능
- 작업 기억이 약하면 “숙제를 하다가 지우개를 찾으러 갔다가 다시 자리에 못 돌아오는” 일이 반복됩니다.
- 이는 게으름이 아니라 뇌 발달 특성과 연결됩니다.
3. 작업치료 관점에서 본 아동의 산만함
작업치료사는 아이의 집중력 부족을 단순한 버릇 문제가 아닌, 신경 발달과 실행기능 미성숙의 결과로 봅니다.
활동 분석 예시
- 퍼즐 맞추기: 끝까지 완성하지 못하면 지속적 주의 부족 신호.
- 보드게임: 순서를 기다리지 못한다면 충동 억제 기능 미숙.
- 글쓰기 과제: 쓰다가 산만해진다면 작업 기억과 주의력 조절 미흡.
이처럼 아동의 행동은 단순한 고집이 아니라, 뇌 기능 발달 수준을 반영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4. 집중력 향상을 위한 접근
- 감각통합 활동: 전정감각·고유수용성 자극을 활용해 집중 기반 강화.
- 자기조절 훈련: 호흡, 감각 피드백, 휴식 신호로 산만함 조절.
- 실행기능 훈련: 메모리 게임, 단계별 문제 해결, 규칙 있는 게임으로 전두엽 발달 촉진.
- 환경 조절: 조용하고 자극을 줄인 공간에서 과제 수행 유도.
아이가 산만하다고 해서 의지 부족이나 성격 문제로만 단정 지어서는 안 됩니다.
실행기능은 훈련과 경험을 통해 발달할 수 있으며, 일상 속 작은 환경 조절을 통해 집중력은 충분히 향상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의 이해와 꾸준한 지원이 아이의 성장에 큰 힘이 됩니다.
5살 저희 둘째 딸은 퍼즐 맞추기, 보드게임, 디폼블럭을 통해 지속적 집중력을 높여주려고 하고 있어요. 아직 잘 안 되면 짜증을 내기도 하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끝까지 해낼 수 있도록 기다려 주고 있습니다.
4~5세 시기는 아이가 자기 조절력을 기르고 집중력을 키워야 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랍니다. 이 과정에서 전두엽과 실행기능은 시냅스 연결을 통해 점점 더 정교해지고 강화되지요. 그러니 부모님이 옆에서 차분히 도와주시면 아이는 충분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재활이 궁금해요 > 전문적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씨를 못 쓰는 이유: 시지각·소근육·체간 안정성 문제 (74) | 2025.09.25 |
---|---|
원시반사와 발달 지연, 왜 그럴까? (91) | 2025.09.23 |
아기 발달에 중요한 STNR, 대칭성 긴장목반사 이해하기 (34) | 2025.09.16 |
아동·성인 원시반사 체크리스트 및 임상적 가이드 (26) | 2025.09.16 |
상황별 놀이 시리즈 2편-🚗 차 안에서 즐기는 집중력 놀이 — 신경학적 근거와 효과 (63) | 202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