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놀자쌤의 놀이 및 활동 분석

아이가 책을 읽어 줬어요~!

by Nolja Sam 2025. 2. 18.
728x90
반응형
둘째 딸은 책을 본인이 읽어 주는 걸 더 좋아해요. 

어제도 읽어 주는데 부엉이가 나뭇가지에 부딪혀서 다치는 장면이었어요 
그런데....
"부엉아 정신 좀 차려봐"하고 하더라고요
?????
 

어디서 이 말을 배웠는지는 모르겠지만 참으로 당황스러워 웃음이 나더라고요.
그럴 땐 "괜찮아?"라고 물어보는 거라고 얘기해 주긴 했지만 괜.. 찮겠죠?  


 
 
 

이제 책 읽어주는 활동은 어디에 좋은지 살펴볼까요?

1. 인지적 발달(Cognitive Development)

  • 기억력 향상: 책을 읽고 이야기를 기억하는 과정에서 기억력을 향상시킵니다.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며 중요한 세부 사항을 기억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발전합니다.
  • 집중력: 책을 읽어주는 동안 아동이나 환자는 이야기에 집중하고 내용을 따라가야 하므로, 주의집중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 그 중에서도 지속적 집중력이 사용 되어요!!
  • 문해력: 책의 내용이나 단어,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글과 그림을 통해 인지적 능력이 발달합니다.
  • 문제 해결 능력: 이야기를 읽고 캐릭터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함께 생각해보며,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2. 언어적 발달(Linguistic Development)

  • 어휘력 향상: 책에서 나오는 새로운 단어를 배우고, 그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어휘력이 향상됩니다.
  • 언어 표현 능력: 책을 읽으며 질문을 던지고, 이야기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활동을 통해 언어 표현 능력이 발달합니다.
  • 대화 능력: 책을 읽은 후 질문을 하고, 이야기 속 인물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대화 능력도 향상됩니다.

3. 사회적 발달(Social Development)

  • 상호작용: 책을 읽는 책 읽어주는 대상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집니다. 주로 이야기 중 등장인물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 공감 능력: 책 속 인물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그 감정을 공감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 감정 표현 및 조절: 책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제 딸은 이 감정 표현 부분을 더 배워야 할 것 같네요.. ㅋㅋ

4. 정서적 발달(Emotional Development)

  • 정서적 안정감: 책을 읽어주며 아동이나 환자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편안한 분위기에서 책을 읽으면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습니다.
  • 자기 인식: 책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정서적 자각을 향상시킵니다.
  • 자기 표현: 책을 통해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정서적 표현 능력이 향상됩니다.

5. 신체적 발달(Physical Development)

  • 손-눈 협응: 책을 넘기거나 그림을 가리키는 등의 활동을 통해 손-눈 협응 능력이 향상됩니다.
  • 자세 조절: 책을 읽을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므로, 자세의 안정성과 조정 능력이 발달합니다.
  • 소근육 발달: 책을 손에 쥐고 넘기는 동작은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6. 기능적 발달(Functional Development)

  • 일상 활동에의 적용: 책 읽기 활동은 일상적인 활동에서 필요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스로 책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은 독립적인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합니다.
  • 주관적 목표 설정: 책을 읽은 후 자신이 배운 내용을 정리하거나, 그 내용을 토대로 일상적인 활동에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7. 치료적 목표(Therapeutic Goals)

  • 집중력 증진: 책 읽기를 통해 집중력과 주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주의집중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나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 상호작용 증진: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료적인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습니다.
  • 정서적 안정 및 표현: 정서적인 발달을 돕고, 감정 표현을 강화하는 데 유용한 활동입니다.
  • 자신감과 자아 존중감 향상: 책 속 이야기를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자기 표현을 통해 자아 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8. 적응 및 수정(Adaptation and Modification)

  • 책의 난이도 조절: 아동이나 환자의 발달 수준에 맞는 책을 선택하여, 적절한 도전 과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림책에서 문장이 길어지는 책으로 점차적으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상호작용 방식을 조정: 집중력이 짧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려운 아동에게는 질문을 간단하게 던지거나, 더 자주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언어적 지원: 언어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나 환자에게는 책의 내용이나 단어를 천천히 반복하며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사회적 환경(Social Environment)

  • 다양한 환경에서의 책 읽기: 부모나 치료사와 함께 책을 읽으면 가족 간의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치료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 그룹 활동으로 책을 읽을 때는 또래 간 상호작용도 증진될 수 있습니다.
  • 치료 환경에서의 적용: 병원이나 치료 센터에서 책 읽기 활동을 통해 환자나 아동이 정서적 안정감을 얻고, 치료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

책 읽어주기는 작업치료의 인지, 언어,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 등에서 유용한 활동이에요.

책 읽기가 좋다고 하지만 정확히 어디에 좋은지는 모르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럼 다음에 또 다른 주제로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