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이 궁금해요/전문적 지식

중추신경계 질환(다발성 경화증 MS)

by Nolja Sam 2025. 2. 25.
728x90
반응형

출처 : 구글 이미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즉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신경 세포를 감싸고 있는 미엘린(myelin)이라는 물질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신경 신호 전달이 방해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미엘린은 신경세포들이 빠르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합니다.

 

즉,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 신경세포는 미엘린이 감싸고 있고 이를 통해 신경 신호 전달이 빠르게 이루어 집니다.

하지만 이 미엘린이 손상되면 신경 신호 전달이 느리거나 전달되지 않고 감각이나 운동의 제한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1.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

다발성 경화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자가면역 반응: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계가 자신의 신경계(특히 미엘린)에 대해 공격을 일으킵니다. 면역세포(특히 T세포)가 미엘린을 외부 물질로 잘못 인식하고 공격합니다.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다발성 경화증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도 다발성 경화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 감염(특히 Epstein-Barr virus)이나 비타민 D 부족, 지리적 요인(온대 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정도도 다릅니다. 미엘린이 손상된 위치와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각 이상: 팔이나 다리에서 저림, 무감각, 쑤시는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운동 장애: 근력 약화, 불안정한 보행, 평형 감각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넘어지거나 걷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시각 문제: 한쪽 눈에 흐릿한 시야, 이중 시야, 또는 "시신경염(Optic Neuritis)"으로 인한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로감: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은 비정상적인 피로감을 자주 느낍니다. 이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심할 수 있습니다.
  • 배뇨 및 배변 장애: 배뇨나 배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배뇨 빈도 증가, 급박 배뇨, 배뇨 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인지 기능 장애: 기억력 저하, 집중력 부족, 문제 해결 능력 감소 등의 인지적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우울증: 신경계의 변화로 인해 감정 조절이 어려워져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다발성 경화증의 종류

다발성 경화증은 증상의 진행 양상에 따라 몇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재발-완화형(MS, Relapsing-Remitting MS): 가장 흔한 형태로, 증상이 갑자기 악화(재발)된 후 증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되는 시기가 반복됩니다. 증상 완화기 동안에는 거의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 2차 진행형(Secodary Progressive MS): 처음에는 재발-완화형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상이 악화되며 개선되지 않고 지속적인 진행이 나타납니다.
  • 1차 진행형(Primary Progressive MS): 증상이 점진적으로 악화되며, 재발과 완화의 주기가 없이 증상의 진행이 계속됩니다. 이 형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발생합니다.
  • 진행성 재발형(Progressive-Relapsing MS): 드문 형태로, 증상이 점차 악화되면서 갑자기 악화되는 재발이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4. 다발성 경화증의 진단

다발성 경화증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MRI(자기공명영상): 뇌와 척수의 미엘린 손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RI에서는 신경 손상 부위가 "다발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발성 경화증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척수액 검사: 척수액에서 염증과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단백질(예: IgG 등의 면역 글로불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기생리학적 검사: 뇌와 척수의 전기 신호 전달 속도를 측정하여 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5.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

현재 다발성 경화증을 완전히 치료할 수는 없지만, 증상 완화 및 질병 진행을 늦추기 위한 치료 방법이 존재합니다.

  • 질병 수정 치료(Disease-modifying therapies, DMTs): 다발성 경화증의 진행을 늦추고 재발을 줄이는 약물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인터페론, GLATIRAMER ACETATE, 오크레술리무브와 같은 약물이 포함됩니다.
  • 스테로이드 치료: 급성 재발이 있을 때 증상 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증상 관리: 피로, 근력 약화, 통증, 배뇨 문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육 이완제, 진통제, 배뇨 보조제 등이 사용됩니다.
  • 물리 치료와 재활: 운동 및 물리 치료를 통해 근력과 기능을 유지하고 회복할 수 있습니다.

6. 다발성 경화증의 예후

다발성 경화증의 예후는 환자마다 다릅니다. 일부 환자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으로 잘 관리될 수 있지만, 다른 환자는 심각한 장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입니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 다발성 경화증의 관리

  • 정기적인 의료 검사약물 치료가 중요합니다.
  • 건강한 식습관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며, 피로감이 심한 경우 적절한 휴식과 수면이 필요합니다.

다발성 경화증은 만성 질환이지만, 현대의 의료 기술을 통해 증상 관리와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가능합니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